삼지연 관현악단 140명 서울·강릉에서 공연

17일 평창 실무회담

20일 IOC-남북회담

이달말 군사회담도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를 위한 남북간 회담이 숨가쁘게 이어지고 있다.
공동보도문 교환하는 남북│우리측 수석 대표인 이우성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정책실장(오른쪽)과 북측 단장인 권혁봉 문화성 예술공연운영국 국장(왼쪽)이 15일 판문점 북측지역 통일각에서 열린 평창동계올림픽 북한 예술단 파견과 관련한 실무접촉 종결회의에서 공동보도문을 교환하고 있다. 사진 통일부 제공=연합뉴스


남북 고위급회담(9일)과 예술단 파견을 위한 실무접촉(15)일에 이어 17일에는 판문점에서 착차관급 '평창 실무회담'을 연다.

채 열흘도 안되는 기간에 남북회담이 세차례 열리는 셈이다. 남북은 여기서 논의된 결과를 토대로 20일(현지시간) 스위스 로잔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만나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에 대한 협의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이어 빠르면 이달 말에는 남북 군사당국회담이 개최된다. 평창올림픽에 참가하는 북한 대표단의 안전한 육로 통행을 보장할 필요성 때문이다.

15일 판문점 통일각에서 열린 남북 실무접촉에서는 북한이 평창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을 계기로 삼지연관현악단 140여명으로 구성된 예술단을 남측에 파견하기로 했다. 북측 예술단은 강릉과 서울에서 공연할 예정이다.

남북은 또 북측 예술단의 공연 장소, 무대 조건, 필요한 설비, 기재 설치 등 실무적 문제들은 쌍방이 협의하여 원만히 풀어나가고, 이와 관련해 북측은 조속한 시일 내에 사전 점검단을 파견하기로 했다.

아울러 남측은 북측 예술단의 안전과 편의를 최대한 보장하기로 했으며, 기타 실무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들은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문서교환 방식으로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우리측 수석대표를 맡은 이우성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예술정책실장은 접촉 뒤 브리핑에서 "북측이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진행하는 일종의 평창동계올림픽, 패럴림픽 축하공연의 성격"이라고 말했다.

이 실장은 "서울과 강릉 등 2회 공연으로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공연장에 대해선 사전점검단이 오면 "후보 공연장들을 보고 최종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강릉에서는 '강릉 아트센터'에서 올림픽 개막일 전후에 공연이 진행될 가능성이 크며, 서울에서는 세종문화회관과 예술의전당 등이 대관 가능 일정을 정부에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공연 내용은 북측에서 "통일 분위기에 맞고, 남북이 잘 아는 민요, 세계명곡 등으로 구성하겠다고 설명을 했다"고 이 실장이 전했다.

삼지연관현악단이 기존에 알려진 삼지연악단인지, 현송월이 단장으로 내려오는지 등은 아직 불분명하다.

구성 인원이 140여명이라는 점에서 만수대 예술단 산하의 삼지연악단과는 다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우리측 대표단의 정치용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예술감독은 "오케스트라 규모는 한 80명이며 노래와 춤 등이 합쳐져 140명"이라고 소개했다.

북한 예술단이 남측에서 공연하는 것은 2002년 8월 서울에서 열린 8·15 민족통일대회 당시 북한 예술단이 동행해 공연한 이후 15년 6개월 만이다. 북한 예술단이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도 공연하는 것은 처음이며, 남측에 내려오는 북한 예술단 규모로는 이번이 역대 최대인 것으로 전해졌다.

북측은 예술단을 판문점을 통해 육로로 내려보내겠다고 우리 측에 요청했다.

이 실장은 "(북측이) 예술단이 판문점을 경유해 서울-평창까지 육로로 이동하는 방안을 요청했다"면서 우리측은 북측 예술단이 공연지역인 서울과 강릉을 오갈 때 안전문제 등을 고려해 KTX를 이용하는 방안을 북측에 제기했다고 밝혔다.

남북이 17일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개최달 차관급 '평창 실무회담'은 남북간 실무접촉이 진행 중인 북측 예술단 파견 문제를 빼고 나머지 제반 사항이 다뤄질 전망이다.

북측 고위급대표단과 선수단, 응원단, 태권도시범단 등 북한 방문단의 규모와 방남 경로, 체류비 부담을 포함한 편의 제공, 안전 보장 등이 해당된다.

남북은 천해성 통일부 차관과 전종수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을 각각 수석대표와 단장으로 하는 3명씩의 대표단을 꾸렸다.

북측이 15일 실무접촉에서 예술단의 육로 방남을 요청함에 따라 나머지 방문단도 육로 방남을 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우리정부는 군사분계선을 넘는다는 상징성을 염두에 두고 북한 방문단의 육로 방남을 기대해왔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김상범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