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경관 파괴

67% 육상에서 와

국내 연안과 바다에 매년 10만톤의 해양쓰레기가 쌓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해양수산부는 우리나라에서 매년 18만톤의 해양쓰레기가 발생하지만 수거하는 양은 7만~8만톤에 불과하다고 24일 밝혔다. 수거되지 못한 채 남은 해양쓰레기는 해양경관을 훼손하고 유령어업 등으로 해양생태계도 파괴하고 있다. 유령어업은 폐그물 등 버려지거나 방치된 어구에 해양생물이 걸리거나 갇혀서 죽는 것을 말한다. 미세플라스틱은 분해되지 않아 어류가 먹고, 먹이사슬을 따라 사람에게도 피해를 준다.

해수부에 따르면 해양쓰레기는 1만5000km에 이르는 전국 해안선을 따라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어 전체량을 수거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해양쓰레기 중 67%는 육지에서 발생해 하천 등을 통해 바다로 흘러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상 발생량을 줄이고 바다로 흘러오는 원인을 차단하는 게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율적인 방법으로 거론되는 이유다.

해수부는 국민들이 해양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사전에 쓰레기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해양쓰레기 정화주간'을 지정해 운영하기로 했다. 우선 오는 31일 열리는 제23회 바다의 날을 맞아 28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9일간 정화주간을 운영한다.

해수부는 이번 행사기간 전국 연안 160여개소에서 해수부 소속 11개 지방해양수산청과 지자체, 해양환경공단, 한국어촌어항협회, 수협 등과 함께 2만여명이 참여하는 해양쓰레기 수거행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해안가쓰레기는 지자체가 주관하고, 부유쓰레기는 해양환경공단 어촌어항협회 등의 보유선박을 이용해 수거하기로 했다. 또 가라앉은쓰레기는 공단과 협회에서 선정한 전문업체를 통해, 하천·하구쓰레기는 환경부와 지자체 주관으로 수거하기로 했다.

장묘인 해수부 해양보전과장은 "이런 활동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도록 매월 셋째 금요일을 '연안정화의 날'로 정해 정기적으로 활동할 계획"이라며 "해양쓰레기는 바다로 한 번 들어가면 빠르게 확산되고, 수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게 최선"이라고 말했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정연근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