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럽조사선 취임 후 최고 지지율 … 정치권·전문가 반감과 달라

역사적 북미정상회담을 마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미국 내 여론지지도가 크게 오르고 있다. 미국내 전문가집단이나 정치권에서 북미회담결과에 대해 비판적 목소리를 강하게 쏟아내는 것과는 사뭇 다른 현상이다.

19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SSRS에 의뢰해 지난 14~17일 전국 성인 1012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설문조사(95% 신뢰수준 ±3.7p)를 실시한 결과 '북미정상회담 성과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52%로 나왔다고 밝혔다. '만족하지 않는다'는 답변은 36%에 그쳤다.

다만 정치성향에 따라서는 상반된 시각이 확연히 드러났다. 공화당 지지층에서는 85%가 정상회담결과에 만족한 반면, 무소속은 50%, 민주당 지지층은 28%에 불과했다.

'정상회담에서 이익을 얻은 쪽은 어디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0%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꼽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5%에 그쳤다.

'북한 핵 위협'에 대해서는 54%가 '장기적 위협'이라고 답했고, 25%는 '임박한 위협'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 위협이 없다'는 응답은 16%에 불과했다.

이밖에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단' 방침에 대해서는 반대가 48%로 찬성(40%)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바로 전날 발표한 갤럽의 여론조사 결과도 흥미롭다.

갤럽이 지난주 성인 남녀 1500명을 상대로 한 주간 여론조사 결과(표본오차 ±3%p)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한다는 응답이 45%로 나타났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취임(2017년 1월20일) 직후 첫 번째 주에 집계된 지지율(45%)과 동일하다. 같은 기간 전직 대통령들의 지지율과 비교해도 전혀 밀리지 않는 수준이다. 전직 대통령들의 취임 2년 차 6월 지지율을 보면 버락 오바마(46%)·빌 클린턴(46%)·로널드 레이건(45%) 전 대통령과 비슷한 수준이며, 지미 카터 전 대통령(43%)보다는 다소 높다.

취임 직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던 지지율이 다시 40%대 중반으로 오른 배경에는 북미정상회담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갤럽의 설명이다. 여기에 실업률이 최근 수 십년 이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물론 갤럽 조사에서도 정치성향에 따른 호불호는 갈렸다. 공화당 지지자의 90%가 트럼트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지지한 반면, 민주당 지지자들의 국정운영 지지도는 여전히 10%대에 그쳤다.

다만 무당파의 지지율이 전주보다 7%포인트 오른 42%를 기록해 북미회담효과가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보다 훨씬 전인 북미회담 직후 여론조사는 이와는 사뭇 달랐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와 ABC뉴스가 북미회담 직후인 13∼15일(현지시간) 미전역 성인 495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표본오차 ±5.5%)를 진행해 17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5%가 '미국에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하기엔 너무 이르다'고 답했다. 마찬가지로 '북한에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하기엔 너무 이르다'는 응답자도 56%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또 '미국에 성공적이었다'는 응답은 21%, '북한에 성공적이었다'는 응답은 29%로 나타났다. 회담이 끝난 직후라 평가를 유보한 답변으로 분석된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회담에서 '적절하게 타협했다'는 견해를 보인 응답이 41%로 '북한에 너무 많이 양보했다'는 응답 34%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문가 그룹이나 정치권에서 북한에 너무 많이 양보했다는 식의 반응을 보였던 것과는 상당히 다른 평가다.

이런 분위기를 의식한 듯 문재인 대통령도 14일 오전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을 접견한 자리에서 "일부 전문가들이 이번 북미정상회담의 성과를 낮게 평가하는 것은 민심의 평가와 동떨어진 것"이라며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사용할 경우 가장 큰 피해를 입는 것은 한국 국민인데, 그런 한국 국민이 이번 북미정상회담 성과를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정재철 기자 · 워싱턴=한면택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