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김대중·노무현정권 때 북한·통일학과 설치 '붐'

이명박·박근혜정권 때 군사·국방·안보학과 개설 늘어

문민정부 출범 이후 신설되기 시작해 한때 7개 대학에 설치·운영되던 북한학과와 통일학과가 남북관계가 악화됐던 이명박·박근혜 정부를 거치면서 대폭 축소됐다. 반면 이 시기 군사·국방·안보 관련 학과는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회 교육위원회 박경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교육부가 제출한 '2003~2018년 모집단위별 입학정원'와 대학알리미 공시자료를 분석한 결과 확인됐다.


이에 따르면 1990년대 냉전질서 해체와 사회주의권 붕괴, 독일 통일 이후 국내에서 통일교육과 통일대비 전문 인력 양성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대학들이 북한학과를 설치하기 시작했다. 1994년 동국대를 시작으로 명지대(1995년), 관동대(1996년), 고려대(1997년), 조선대·선문대(1998년)가 북한학과를 설치했고 2001년에 인제대가 통일학부를 신설했다.

그러나 1990년대 중후반 급격히 개설돼 7개에 이르던 북한학·통일학과는 통·폐합돼 현재 동국대와 인제대만이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조선대는 개설 1년만인 1999년 학과를 폐지했으며 관동대는 2006년 해당학과를 폐지했으며, 선문대는 2008년 동북아학과로 개편했다. 명지대는 2010년 정치외교학과로 통합했으며 고려대는 2016년 통일외교안보전공으로 학제를 개편했다. 2000년대 후반부터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해당 학과의 사회적 수요가 급감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반면 남북관계가 악화되던 이명박·박근혜 정부 집권 당시, 군사·국방·안보 관련 학과는 2007년 6개에서 2017년 28개로 크게 늘어났다. 2017년 학부 기준, 군사·국방·안보 관련 학과는 총 28개다. 이 중 22곳(79%)이 이명박·박근혜 정부(2008년~2017년) 당시 개설됐다. 특히 2011년을 기점으로 19개가 급격히 신설됐다. 2008년 금강산 관광객 피살, 2010년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 사건 등 남북관계가 급격한 경색 국면에 접어든 데다가 당시 '취업률'이 정부재정지원사업에 주요 평가 지표로 포함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18년 기준으로 대학원에 설치된 군사·국방·안보학과는 37개다. 이 중 이명박·박근혜 정부 당시 신설된 학과가 25개로 67.6%에 달했다.

반면 현존하는 북한학·통일학과는 19개이며 이중 20년 이상 유지된 학과는 동국대 행정대학원 안보북한학과(1984),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학과(1989), 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 북한·통일정책학과(1990),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북한학과(1995), 고려대 일반대학원 북한학과(1996), 동국대 일반대학원 북한학과(1997), 이화여대 일반대학원 북한학과(1998)로 7곳에 불과하다.

박경미 의원은 "분단 현실에서 남북화해와 통일을 위한 대안 마련과 인재 양성을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할 대학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시류에 따라 특정학과의 개설과 폐지가 반복된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라면서 "정부와 대학 모두 통일을 준비하는 인재 양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장세풍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