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 출발도시 큰 성과

거북선 복원, 남북 함께

"군사도시, 변방도시 이미지는 이제 잊어주세요. 겨울철 날씨 뉴스 때마다 소개되는 추운 도시 이미지도 잊어주십시오. 이젠 자타가 공인하는 남북정상회담의 도시, 평화도시로 기억해주시고 불러주세요."

최종환(사진) 경기 파주시장은 "민선 7기 파주시의 가장 큰 변화가 바로 계량화할 수 없는 무형의 도시 이미지 변화"라고 강조한다. 그는 이 변화를 "4.27 판문점선언 이후 변화한 남북관계가 가져다준 선물"이라고 말했다.

최 시장은 "파주시는지난해 말 착공한 GTX-A 노선 효과까지 더해 올해 가장 큰 변화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며 "평화시대 한반도 중심도시 평화수도로 도약할 수 있도록 기반을 다져 나가겠다"고 말했다.

■ 최근 파주의 도시이미지가 크게 변하고 있다.

그렇다. 4.27 판문점 선언 이후 생긴 변화다. 지표상으로는 지난해 지가상승률이 전국 1위였다. 전국 평균의 2배 가까이 올랐다. 물론 호가이긴 하지만 민통선 지역 일부는 땅값이 3배 이상 오르기도 했다. 물론 부동산 가치를 얘기하자는 건 아니다. 하지만 이 같은 뉴스가 파주의 어두운 도시 이미지를 바꿔놓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는 얘기를 하고 싶은 거다.

예를 들면 사람들은 겨울철 날씨 보도 때마다 강원도 철원 영하 몇도, 그 다음에 파주 영하 몇도 하는데 익숙해져 있다. 판문점이 있는 접경도시이고, 늘 전쟁위협이 도사리고 있는 군사도시라는 이미지도 덧씌워져 있다. 그런데 남북이 평화체제로 나아가면서 도시 이름 뒤에 관문도시, 거점도시라는 표현을 스스럼없이 붙이고 있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이게 가장 큰 변화 아니겠나.

■ 그렇다면 평화도시 조성을 위해 어떤 사업들을 준비하고 있나.

오는 4월 파주~개성 평화마라톤을 계획 중이다. 임진각 관광지에 평화의 상징인 '옥류관 1호점' 유치를 추진 중이다. 북한과 인접한 상습 침수지역인 사천 일대 농경지 피해를 남북이 함께 조사하려 한다. 이 밖에도 파주개성인삼축제에 개성시 관계자들을 초청하고 나아가 파주시와 개성시의 자매결연도 추진하고 있다. 임진강 거북선 복원사업도 남북이 함께 진행하려 한다. 남북이 오가는 관문도시답게 어떤 사업이건 가장 먼저 추진하고, 그 결과를 전국에 알리는 역할을 할 것이다.

■거북선 복원사업이 좀 생뚱맞아 보인다.

거북선 하면 남해 바다가 먼저 생각날 것이다. 하지만 사실 거북선에 대한 첫 기록은 임진왜란보다 무려 180년 전 태종 13년에 남아있다. 당시 태종실록에는 '왕이 세자와 임진강 나루터에서 귀선이 왜선과 같이 전투를 하는 광경을 참관했다'고 기록돼 있다. 이를 근거로 거북선의 원형, 원조 모형을 복원해보려 한다. 특히 파주시가 이 사업을 시작한 것은 북한에서도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북이 함께 원형 복원에 나서는 과정에서 민족의 동질성을 회복하자는 취지다. 이를 전시성 이벤트성 사업으로 보지 않았으면 좋겠다.

■ GTX-A 노선 착공 역시 획기적인 변화 아닌가.

그렇다. 파주시의 최대 현안사업이었고 지나 10년간 46만 시민들의 숙원이었다. 지난 2007년부터 이른바 대심도 철도사업으로 시작된 GTX 사업은 경기 화성 동탄신도시에서 출발해 삼성역과 서울역을 거쳐 일산(킨텍스)까지 연결하는 사업이었다. 하지만 지난 10년 각고의 노력 끝에 파주 연장을 이끌어냈다. 이젠 파주가 첫 GTX의 출발 도시가 된 것이다.

■ 경남 거창 출신인데 파주와 어떻게 인연을 맺게 됐나.

참여정부 청와대 참모 시절 인연으로 정치에 입문했다. 파주에 옮겨와 경기도의원을 지냈고, 문재인정부 들어 보다 책임 있는 정치를 하고 싶어 파주시장에 도전했다. 지금은 파주의 변화에 가장 민감한 사람이 됐다. 파주는 도농복합도시다. 기존 농촌지역과 대규모 신도시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해, 토박이 시민들과 새로 공동체에 합류한 시민들의 조화를 위해 노력하겠다.

■ 기초자치단체장의 한 사람으로서 문재인정부 자치분권 정책을 평가한다면.

문재인정부의 지방분권 의지는 어느 정부보다 강력하다고 생각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방정부라는 표현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자치분권에 대한 의지의 집약적, 집중적 표현으로 이보다 더 확실한 게 있겠나. 과거 지방자치를 얼마나 싫었으면 지방자치단체라는 애매모호한 말을 만들었겠나 생각해봐라. 이젠 국회가 답할 차례다. 지방자치법 지방재정법 지방일괄이양법 등 관련 법률안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 한 차례 실패한 자치분권 개헌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차염진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김신일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