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당사 최초, 9월 완성" … '소통관리' 실패하면 '당원관리'로 전락할 수도

더불어민주당이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온라인정당으로서의 실험에 들어갈 예정이다.

온라인상으로 당원들을 관리하고 소통하겠다는 포부다.

전당원 투표, 의견 개진과 답변 등 민주적 당운영 뿐만 아니라 당원자치회 운영, 정당로고 등이 들어있는 굿즈 판매, 교육, 당원가게 안내 등 자연스러운 당-당원, 당원상호간 연결고리도 만들어주기로 했다. 새로운 실험은 결국 정당의 관심도와 피드백(반응), 다양한 의견의 수용과 관리에 달려있다.


19일 여당 핵심관계자는 "최고위원회에서 전당원 온라인 투표시스템에 대한 시연이 있었다"면서 "이름과 주민번호로 1차 인증, 전화번호를 통해 수신된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2차 인증을 거쳐 당원을 확인한후 투표를 진행하는 것으로 순조롭게 진행됐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구상한 온라인플랫폼의 첫 단계인 당원투표시스템이 사실상 마무리된 셈이다.

민주당은 이달까지 1년 앞으로 다가온 21대 총선룰을 확정하고 다음달 특별당규를 만들어 전당원투표에 부칠 예정이다.

전당원 투표 과정을 통해 투표자들이 당원임을 확인하고 당원으로 등록되지 않은 경우엔 새롭게 입력하는 방식으로 당원관리가 이뤄진다.

이해찬 당대표는 16일 기자회견에서 "(총선룰을) 특별당규로 총선규칙을 만들어 전당원 투표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라며 "전당원 투표를 하기 위해 당원관리 위한 플랫폼을 준비중에 있다"고 말했다. "4월말까지 만들어질 것 같은데 전체 당원관리도 하고 전당원 투표제를 실시할 수 있다"면서 "한국정당에서 가장 처음으로 온라인플랫폼을 운영하는 현대화된 당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강훈식 총선제도기획단 간사는 "핵심적으로 이번에 새롭게 도입하는 게 전당원 투표제"라며 "공천심사의 기준과 공천의 프로세스에 대해서 (전당원투표) 이런 것들은 정당사에서 처음 해보는 일이기 때문에 의미가(있다)"라고 평가했다.

◆다음달 당원게시판 제작 = 다음달에는 인증된 당원만 이용할 수 있는 전용게시판이 만들어진다. 청원 제보 제안 등을 할 수 있는 소통게시판이다. 당원과 비당원을 명확하게 구분하겠다는 취지다.

당원들의 목소리에 더욱 귀를 기울이려는 의지로도 해석된다. 비당원이 개진할 게시판은 현재와 같이 운영될 가능성이 높다.

7월에는 중앙당, 8월에는 시도당 홈페이지 개편이 완료된다. 시도당, 각급위원회, 지역위원회의 홈페이지를 중앙당 홈페이지와 동일한 메뉴를 갖추도록 만들고 좀더 작은 규모의 의견교류와 당원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키로 했다.

온라인플랫폼이 완성될 9월엔 마지막으로 당원이 직접 변경된 연락처 주소 등을 고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각종 증명서 발급이나 당적 관리도 쉽게 할 수 있게 만들기로 했다.

당의 로고가 새겨진 컵, 옷 등을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굿즈샵이 설치되고 온라인 당원 교육, 당원가게 위치인증 등도 메뉴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실패의 기억 = 시행착오에 대한 경고도 만만치 않다. 민주당엔 2015년 '정책&공감'이라는 당원들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실패한 경험이 있다. 플랫폼이 잘 만들어졌더라도 '새로운 시각'으로 관리하고 대응하지 않으면 고속도로에서 마차타는 격이 되기 때문이다.

모 민주당 중진 의원은 "온라인플랫폼이라는 것은 단순히 만들기만 한다고 되는 게 아니라 만들고 운영하는 사람들, 당 지도부의 생각이 완전히 달라져야 한다"면서 "온라인정당, 온라인 플랫폼은 많은 시행착오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모 민주당 초선 의원은 "온라인플랫폼의 핵심은 당원들의 의견을 받고 이를 수용하고 대응하는 것인데 친문들의 강성과 반대파의 이야기, 지도부에 대한 비판들이 난무하는 것을 용납할 수 있을지가 중요하다"고 했다.

지역위원장인 또다른 초선 의원은 "실제로 많은 요구와 민원을 어떻게 수용할지 벌써 걱정이다"고 했다. 소통관리에 실패하면 '당원관리' 플랫폼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민주당 핵심관계자는 "당원 게시판은 익명성이 보장되긴 하지만 로그인을 해야 하므로 과도한 익명성에 기대 과대대표된 일부 그룹들이 정제된 토론에 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상향식 토론문화가 만들어지도록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금요 포커스 연재 기사]

박준규 기자 jkpark@naeil.com

박준규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