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반기 금융안정보고서

‘마이너스 채권’ 15조달러

글로벌 통화완화 ‘후폭풍’

막대한 규모의 기업부채가 향후 글로벌 금융위기 뇌관이 될 수 있다는 경고음이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6일(현지시간) ‘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채무불이행(디폴트) 리스크가 있는 주요 경제권의 기업부채가 오는 2021년에는 19조달러(2경2600조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과 중국 일본 유로존(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을 집계한 것으로, 이들 8개국 기업부채 총액의 40%에 육박하는 규모다. 금융 시스템이 취약한 신흥시장 뿐만 아니라 주요 선진경제권의 금융 안정성에도 빨간불이 커졌다는 의미다.

IMF는 “기업부채가 전 세계적으로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시스템적인 위기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면서 “투기등급의 기업부채는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에 근접했거나 그 이상”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미국에서 과도한 차입을 통한 인수·합병(M&A)이 늘어났다면서 “미국 기업의 차입매수(LBO)가 급격히 증가했고, 이는 기업신용도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신흥시장에 대해서도 “브라질과 인도 한국 터키의 은행 시스템이 취약한 자산에 많이 노출돼 있다”고 평가했다.

글로벌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기업부채가 눈덩이처럼 커졌다는 게 IMF의 판단이다. 국내총생산(GDP) 기준으로 전세계의 70% 지역에서 통화완화 정책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마이너스 수익률’ 채권이 전세계적으로 15조달러에 달한다고 IMF는 분석했다. IMF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7월과 9월 두차례 걸쳐 기준금리를 총 0.50%p 인하했다”면서 “이런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 정책 기조 속에 위험자산이 불어난 것”이라고 지적했다.

IMF는 “일본과 미국의 증시도 과대평가됐다”면서 “4월 이후로 미국 증시의 펀더멘털이 악화됐지만, 주가는 상승했다”고 평가했다.

저금리발 유동성 장세가 이어진 만큼 급격한 주가 조정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직접적으로 연준의 금리인하를 비판한 것은 아니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와 미중 무역갈등이 이어지면서 글로벌 통화완화 기조가 뚜렷해지는 상황에 국제기구의 ‘경고음’이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이번 보고서는 워싱턴DC에서 열리는 IMF·세계은행 연차 총회에 맞춰 공개됐다.

한편, IMF는 무역갈등이 경기둔화를 가속화하고 신흥시장에 실질적인 충격을 가할 위험성도 우려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전했다. IMF의 토비아스 에이드리언 통화자본시장 디렉터는 이날 기자들에게 미중 무역전쟁과 관련, “지난 2년간 금융시장에 상당한 충격을 가했고, 특히 소규모 경제권에 ‘도미노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한면택 워싱턴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