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가인구 10만명선 추락 … KMI "어촌소멸 위기 커져"

국내 어촌사회 인구감소가 지속적으로 이어지면서 어촌소멸 위협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10일 서울 코엑스(삼성동)에서 열린 '2020 해양수산 전망과 과제'에서 어촌인구 감소에 따른 어촌소멸 위기를 경고하고 정부에 시급한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해양수산개발원의 전망 모형에 따르면 어가수는 2018년 5만1494가구에서 2019년 4만9998가구로 2.9% 줄었다. 어가수가 5만호 아래로 떨어진 것은 사상 최초다. 올해는 2.2% 감소한 4만8885가구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어가인구도 같은 기간 11만6883명에서 11만2754명으로 3.5% 감소했다. 올해는 10만9344명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모형에 따르면 어가인구는 2022년 10만명이 붕괴, 2024년 8만9000명 수준으로 줄어든다. 수산업 진입장벽과 어촌사회의 폐쇄성으로 인해 어가 고령화율도 2018년 36.3%에서 2019년 37.2%로 높아졌고, 올해도 38.5%로 더 심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도시민의 귀어·귀촌은 어촌의 인구감소를 되돌릴 수준에 이르지 못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어인수는 2017년 991명, 2018년 986명으로 1000명 미만 수준에 머물고 있다.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은 열악한 삶의 질에서도 나타난다. 정부 '농어업인 삶의질향상위원회'가 수협중앙회 도움을 받아 전국 2029개 어촌계를 대상으로 삶의질 만족도를 조사(응답 어촌계는 759개로 전체 37.4%)한 결과 지난해 어업인 삶의질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5.2점으로 도시(2018년 기준) 6.4점, 농촌 5.8점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삶의질 만족도는 모든 정책 부문에서 어촌주민이 농촌과 도시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농촌과 삶의질 격차가 가장 큰 부문은 안전, 환경·경관, 경제활동·일자리, 정주생활기반 순으로 나타났다. 도시와의 격차는 보건·복지, 교육, 안전 순이었다.

어촌·어업인들의 삶의질 여건은 정부의 생활인프라(SOC)확충과 복지확대정책 등으로 2017년 4.7점에 비해 지난해 5.2점으로 상대적으로 개선됐지만 경제활동·일자리 부문에서 만족도는 4.5점으로 가장 낮았다.

박상우 해양수산개발원 어촌어항연구실장은 "어촌사회 인구감소와 초고령화 문제가 특단의 대책없이 이대로 흘러간다면 수산업·어촌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없다"며 "연구결과 2045년에는 우리나라 전체 어촌의 81.2%가 지역소멸 고위험성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됐다"고 밝혔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정연근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