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생활 즐기려 귀촌한 15%는 5년 후 농업인으로 … 귀농귀촌 갈등요인 '선입견·텃세'

귀농 5년차가 되면 가구소득이 3895만원으로 늘어나, 귀농전 평균 소득의 88.5% 수준을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촌가구는 5년차에 4200만원을 벌어들였다. 귀농인은 도시지역에서 농촌으로 이전한 사람 중 농업경영체·농지원부·축산업등록부에 등록한 사람이고, 그 외는 귀촌인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9년 귀농귀촌 실태를 발표하고 연령대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지원을 강화한다고 27일 밝혔다. 한국갤럽에 의뢰해 최근 5년간 귀농귀촌 가구 4167가구를 조사한 결과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귀농 이후 5년차에 귀농 전 평균 가구소득의 88.5%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 1년차 가구소득은 2828만원이고, 귀농 이후 5년차에 3895만원까지 올라 귀농전 평균인 4400만원에 근접했다. 귀농가구 48.6%가 농업소득 부족 등의 이유로 농업외 경제활동을 수행하고 있었다.

농업인으로 등록하지 않은 귀촌가구의 평균 소득은 4038만원으로 4년차(4058만원)에 귀촌전 소득을 회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귀촌 전후 지출을 보면 월 평균 생활비는 귀농 282만원, 귀촌 259만원 수준이었지만 귀농후 201만원, 귀촌후 213만원이다.

조사대상 귀촌 가구의 15%는 5년 이내 농업인으로 전환했다. 귀농귀촌 10가구 중 7~8가구는 농촌에 연고가 있거나 경험이 있었다. 귀농귀촌의 유형을 3단계로 구분해 보면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U턴형'이 귀농 54.4%, 귀촌 29.5%를 차지했다. 또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없는 농촌으로 이주한 'J턴형'은 귀농 21.5%, 귀촌 27.7%다. 도시에서 태어나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한 'I형'은 귀농 7.4%, 귀촌 10.8%로 나타났다.

귀농 이유로는 자연환경 28.6%, 농업 비전·발전 가능성 26.4%, 가족생활 10.4% 순으로 응답했다. 귀촌의 경우 정서적 여유 21.2%, 자연환경 19.3%, 저렴한 집값 13.6%다.

귀농귀촌 준비는 평균 25.1개월 소요된다. 귀농가구 59.9%, 귀촌가구의 21.1%는 온-오프라인 교육 등을 이수했다. 귀농귀촌 교육에서 가장 개선돼야 할 점으로 다양한 교육 콘텐츠 개발(28.6%), 현장실습 연계 강화(20.3%) 등을 꼽았다. 귀농귀촌과 관련한 정보는 주로 가족이나 지인를 통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는 귀농보다 귀촌 높아 = 귀촌가구의 경우 농가주택보다는 인근 아파트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았다. 농가주택을 포함한 단독주택에서 사는 비율은 귀농 86.0%, 귀촌 53.0%로 나타났다. 아파트나 연립주택은 귀농 9.3%, 귀촌 44.0%로 큰 차이를 보였다.

귀농가구의 75.6%가 자가 주택이고, 귀촌가구는 59.9%만 자가였다. 귀촌가구는 상대적으로 전월세(35.5%)에 사는 비율이 높았다.

지역주민과 관계에서는 귀농가구 74.7%가 '관계가 좋다'고 답했고, 귀촌가구는 56.1%만 '좋다'고 응답했다. 응답자가 느끼는 주요 갈등요인은 선입견과 텃세, 생활방식 이해충돌, 마을공동시설 이용문제 등으로 나타났다.

가장 먼저 확충해야 할 시설로는 문화체육시설이 가장 많았고, 취약계층 일자리와 노인돌봄서비스, 교통서비스 등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30대 이하는 임신출산양육, 40대는 교육, 5060세대는 일자리 지원을 꼽았다.

만족도는 귀촌가구가 더 높다. 귀농가구의 57.8%가 만족했고, 귀촌가구 만족는 67.0%를 기록했다. 불만족 이유로는 귀농가구의 경우 영농기술과 경험부족(28.5%), 자금부족(27.8%)를 꼽았다. 귀촌가구는 자금부족(43.3%), 영농기술(30.0%)를 선택했다.

◆청년에게 영농정착 자금 확대 = 정부는 이같은 귀농귀촌 실태조사를 토대로 교육지원을 강화하고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교육 수요가 집중되는 도시지역 귀농귀촌 교육을 개선한다. 귀농귀촌인 대부분이 농업기술센터에 교육을 의존하고 있지만 기술센터가 제공하는 귀농귀촌 교육은 양적, 질적 측면에서 수요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농업기술센터가 없는 시군이 13곳이고, 귀농귀촌인 5000명 이상을 담당해야 하는 교육기관이 14곳에 달한다.

이와 함께 연령·가족정보 등 간단한 정보 만으로 배경이 유사한 사람들의 귀농지역 선택 경향, 해당지역 정주여건 등을 사전에 확인해 볼 수 있는 귀농품목·지역정보 지원서비스도 도입할 계획이다.

청년층 창업 지원을 위해 40세 미만 청년 1600명을 선발해 영농정착지원금과 창업자금(3억원 한도)을 지원한다. 또 청년농 창업투자 심층컨설팅 사업을 신설해 2억원 이상 농업투자를 하려는 2040세대 농업인들의 투자 실패를 줄이는 방안도 마련했다.

시·군 귀농귀촌 지원센터 71곳을 중심으로 지역 고용센터, 새일센터 등과 연계한 취업도 지원한다. 제4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 추진으로 귀농귀촌인의 안정적 정착을 지원하고, 정주생활기반 조성에 5년간 51조원을 투융자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귀농귀촌 실태조사를 토대로 정책 강화방안을 마련했다"며 "변화하는 정책환경과 귀농귀촌 실태를 반영한 면밀한 정책보완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김성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