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전환 논란 가중 불러

‘대규모 해상풍력’ 대안이지만

주민 수용성 · 생태계조성 과제

현 정부 들어 촉발된 에너지전환 논란이 여전히 뜨겁다. 석탄발전 해외진출, 원자력발전 축소, 사용후핵연료 처리방안 등은 평행선 다툼이다. 월성1호기 조기폐쇄에 대한 감사원 감사는 1년을 끌었다.

하지만 세계시장은 지구온난화 위기에 코로나19까지 겹치면서 재생에너지 시대를 앞당기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환경오염과 대기 질, 건강과의 연관성이 부각되면서 재생에너지 역할론을 키웠다.

미국의 비즈니스 컨설팅업체 프로스트 앤 설리번(Frost & Sullivan)은 최근 “2030년 재생에너지가 세계 전력 설비용량의 54%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앞서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올 6월 발표한 ‘글로벌 재생에너지 전망’ 보고서에서 전 세계 태양광발전 설비용량이 2019년 582기가 와트(GW)에서 2050년 8828GW로 15배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풍력발전은 같은 기간 624GW에서 6044 GW로 10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우리나라도 석탄·원자력발전 중심에서 재생에너지로의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태양광 48.7GW, 풍력 16.5GW 등 재생에너지 60GW(폐기 물 제외)를 신규 설치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풍력 16.5GW 중에는 해상풍력이 12GW를 차지한다. 해상풍력이 에너지전환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7월 ‘세계 5위 해상풍력강국 도약 비전’을 발표했다. 하지만 가야할 길이 아직 멀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2019 년말 기준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는 18.5GW(폐기물 제외)로, 발전비중이 5.0%에 불과하다. 에너지전환 목표(2030년 20%)를 실현하려면 발전량 비중을 15%이상 끌어올려야한다.

그러나 그 역할을 선도해야할 해상풍력의 경우 현재 국내에서 상업운전 중인 사업은 3개 단지, 124.5메 가와트(MW)에 불과하다. 서남해(한국해상풍력) 60.0MW, 영광(동서발전) 34.5MW, 탐라(남동발전) 30.0 MW다.

이 외에 민간기업 22건, 지자체 7건 등 29건(용량 24GW)이 인허가 절차를 밟고 있거나 사업추진을 계획하고 있다. 이중 가장 주목받는 사업은 전남 신안 8.2GW와 울산 부유식 6GW다. 에너지전환 목표를 달성하려면 대규모 설비가 절실하기 때문이다.

계획용량 중 몇 %가 사업화될지는 불투명하다. 주민수용성 확보, 산업생태계 조성(국내기업 경쟁력 강화) 등은 여전히 과제다.

[관련기사]
[해상풍력│바람불어야 에너지전환 성공한다(상)] 해상풍력 83% 영국 독일 중국에
대만해협이 해상풍력 세계 최고 적합지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이재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