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취업자 22만명 줄어, IMF 이후 최악 … 실업자는 111만명 육박, 대면서비스·임시직 타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지난해 고용시장 충격은 IMF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수준이었다. 취업자 수가 11년 만에 줄어들었다. 감소 폭은 외환위기 이후 22년 만에 가장 컸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는 2690만4000명이다. 1년 전보다 21만8000명 감소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127만6000명) 이래 22년 만에 최대 감소 폭이다.

취업자 수가 줄어든 것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8만7000명) 이후 11년만에 처음이다. 취업자 수 감소는 1998년과 2009년 이외 오일쇼크가 덮친 1984년(-7만6000명), 카드 대란이 벌어진 2003년(-1만명) 등 모두 4차례 있었다.


◆코로나 태풍, 자영업 강타 = 지난해 취업자는 60세 이상(37만5000명)을 제외하고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경제 허리'에 해당하는 30대(-16만5000명)와 40대(-15만8000명)에서 감소 폭이 컸다. 그나마 정부의 공공일자리 정책 덕에 60세 이상만 일자리가 조금 늘어난 셈이다.

산업별로는 도·소매업(-16만명), 숙박·음식점업(-15만9000명), 교육서비스업(-8만6000명) 등 대면서비스업이 직격탄을 맞았다. 모두 코로나19 태풍권의 직접 영향권에 있는 대면서비스업으로 분류될 수 있는 직업군이다.

그나마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3만명), 운수·창고업(5만1000명), 농림어업(5만명)은 증가했다.

임금근로자(-10만8000명)와 비임금근로자(-11만명) 모두 줄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30만5000명)는 늘었지만 임시근로자(-31만3000명), 일용근로자(-10만1000명) 감소가 컸다. 코로나19 충격이 고용 취약계층에 집중된 모습이다.

이 때문에 일시휴직자도 83만7000명으로 43만명 늘었다. 1980년 관련 통계 작성 후 최대 증가다.

◆실업률 19년 만에 최고치 = 당연히 실업률과 고용률, 비경제활동인구 등 취업자 외 각종 지표도 나빠졌다.

작년 실업자는 전년보다 4만5000명 늘어난 110만8000명이었다. 통계 기준을 바꾼 이래 연도별 비교가 가능한 2000년 이후로는 가장 많다.

실업률은 4.0%로 0.2%p 올랐다. 2001년(4.0%) 이후 최고치다. 특히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9.0%로 2018년(9.5%) 이후 2년 만에 다시 9%대로 올라섰다.

고용률은 0.8%p 하락한 60.1%로 2013년(59.8%) 이후 가장 낮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9%로 0.9%p 하락했다. 2015년(65.9%) 이후 최저치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77만3000명으로 45만5000명 증가했다. 증가 폭이 2009년(49만5000명) 이후 가장 컸다. 취업준비자는 79만1000명으로 4만3000명 증가했다.

성홍식 기자 king@naeil.com

성홍식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