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석웅 전남 교육감

2년 째 이어진 코로나19 대유행이 모든 분야에 위기를 불러왔다. 그중 교육 분야의 위기와 도전은 가장 크다. 교육의 핵심인 학교수업이 중단되기 일쑤고, 체험학습 등의 교육활동도 상당 부분 제약을 받고 있다.

그런데 지금 더 큰 위기가 새로운 변화와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출산율 저하에 따른 '학생수 감소'다. 이는 전남교육의 위기를 넘어 '생존'마저 위태롭게 한다.

학교 교육 위협하는 위기

통계청의 2020년 인구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0.84명으로 세계에서 가장 낮다. 이런 추세라면 지방자치단체 상당수가 30년 내에 소멸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남의 경우 22곳 중 17곳이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이는 곧바로 학령인구(6~21세) 감소로 이어져 학교 생존을 위협한다. 1980년 1004만명(유치원 포함)이던 우리나라 전체 학생수는 2021년 595만명으로, 41년 만에 무려 40.7%가 줄었다. 전남 학생수는 2012년 26만8000명(유치원 포함)에서 2021년 20만3000명으로 9년 만에 24.2% 감소했다. 이 때문에 지속적으로 폐교가 발생해 지금까지 833개 학교가 문을 닫았다.

출산율 저하와 인구 감소, 이로 인한 학생수 감소와 학교 통·폐합, 지역사회 공동화의 악순환이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우리 교육 전체에 특단의 생존 대책이 요구된다. 도시로 떠나는 학생의 발길을 붙잡고 되돌리는 방안이 최선이겠으나, 사회 전반의 분위기 상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대안으로 '통합운영학교'가 떠오르고 있다. 초·중 또는 중·고, 급이 다른 학교를 통합해 운영하며 위기를 극복하자는 것이다.

이전에도 통합운영학교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학생수 감소가 본격화한 1990년대 후반부터 통합운영학교가 도입됐으나 역부족이었다. 교육과정 통합 없이 물리적 통합에 그쳐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따라서 이제 새로운 관점과 접근 방식의 통합운영학교를 모색해야 할 때다. 기존에 했던 근거리의 급별 학교 통폐합 방식을 지양하고, 동일 지역 내 소규모 초·중, 중·고를 통합해 미래교육에 적합한 교육환경을 만드는 '미래형 통합운영학교'를 만들어야 한다. 전남교육청이 추구하는 정책 방향도 여기에 맞춰져 있다.

통합운영학교가 성공하기 위한 조건

'미래형 통합운영학교'는 학생의 성장과 삶을 중심에 둔 학교급 간 연계 교육과정 운영이 가능하다. 또한 교육공동체가 상호 소통·협력하는 민주적 학교를 지향하며, 정부의 '그린스마트미래학교'와 연계한 최첨단 미래 교육환경을 갖추게 된다. 행정 시스템 통합으로 학교운영 효율성도 높아진다.

미래형 통합운영학교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통합운영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현행 학제를 뛰어넘는 제도의 변화와 초·중등 교차지도가 가능하도록 법령 개정이 시급하다. 통합운영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의 자발성과 열정을 끌어내고, 학교급 간 이질성을 극복하기 위한 학교문화 조성도 풀어야 할 숙제다.

무엇보다 미래형 통합운영학교의 취지와 방향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국가 주도의 획일적 정책이 아닌, 지역의 여건과 특성을 고려한 교육자치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해당 지역 교육지원청을 중심으로 학교 구성원과 지역민 동의를 구하고 자발적 참여 속에서 차근차근 추진해야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