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전북 전주을 국회의원 재선거 … 민주당 '무공천'

국민의힘 정운천·친민주 무소속·진보당 등 다자구도

오는 4월 5일 국회의원·교육감·지방의원 재·보궐 선거가 예정된 가운데 전북 전주시을 국회의원 재선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민주당 지지세가 압도적으로 높은 지역에서 민주당 후보가 빠진 경쟁이기 때문이다. 여당 소속의 비례대표 현역 의원과 친민주당 성향의 무소속, 진보정당 후보 등이 '실용·협치' '정권 견제'를 외치며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이번 선거결과가 총선을 1년 앞둔 야권 중심지 민심의 현재를 살피는 계기가 될 전망이어서 여야의 관심이 크다는 평가다.

25일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오는 4월 5일 전국 5곳에서 재·보궐 선거가 실시된다. 전북(전주을 국회의원·군산 기초의원) 울산광역시(교육감·기초의원) 경남 창녕(단체장) 경북(구미 광역·포항 기초의원) 등이다.

이 가운데 전주을 국회의원 재선거는 지난 21대 총선에서 민주당 공천으로 당선됐던 이상직 전 의원이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하면서 실시된다.

민주당이 재·보궐 선거 원인 제공 등을 이유로 무공천을 확정하면서 이번 재선거가 다자구도로 진행될 공산이 커졌다. 민주당 공천권이라는 최대변수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25일 현재 강성희 진보당 민생특위원장, 김경민 국민의힘 전 전주시장 후보, 김광종(무소속) 전 우석대 기획부처장, 김호서(무소속) 전 전북도의회 의장, 임정엽(무소속) 전 완주군수 등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또 국민의힘 정운천(비례) 전북도당위원장이 재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여기에 민생당 이관승 공동대표도 출마할 것으로 알려졌다.

윤석열정부에 대한 견제·심판론이 작동할지가 1차 포인트다. 윤석열정부 출범 후 열린 지난 6월 전북권 지방선거에서는 단체장 15명 중 12명, 광역의원 36명 중 35명, 기초의원 172명 중 146명이 민주당 공천자였다. 그나마 무소속 당선자가 선전했고 여당인 국민의힘은 당선자(지역구)를 내지 못했다.

무소속이나 진보정당 후보가 '정권심판'을 강조하는 것도 이러한 지역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 무소속으로 출마한 임정엽 전 완주군수는 "무능 폭주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라며 '당선 후 민주당 복당'을 주장하고 있다. 임 전 군수는 전북도의원과 민주당 중앙당 기조실 부실장, 김대중정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등을 거쳐 민선 4·5기 완주군수를 지냈다.

지역 정치권을 주도해온 민주당에 대한 심판론이 일어날지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지역정치세력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적잖다. 무소속으로 출마한 김호서 전 전북도의회 의장은 출마회견에서 "전주가 지방 권력에 도취한 정치인들로 인해 먹고살기 힘든 도시로 전락했다"면서 "국회에 가서 제 목소리 내고 당당하게 전북 몫을 찾아오는 정치인을 뽑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의장은 전북은행 노조위원장과 3선 도의원을 지냈다. 진보당도 전주을 재선거에 중앙당 차원의 당력을 집중하며 '윤석열정권 심판·정치세력 교체'를 주장하고 있다.

진보당 강성희 후보는 지난 16일 "전주시민들이 더 절망하는 것은 무도한 윤석열정부의 폭주에 당당히 맞설 정치세력이 보이지 않는 정치현실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강 후보는 현대자동차 전주비정규직 지회장을 지냈고 전북도당 대출금리인하운동본부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국민의힘 정운천 의원의 행보도 눈길을 끈다. 정 의원은 지난 19일 재선거 출마를 선언하며 "민주당 1당 독주가 아닌 여야 쌍발통 협치 시대를 여는 것, 진정한 전북특별자치도로 거듭나는 것이 꿈"이라며 "여야 협치 강화로 진정한 전북특별자치도를 만드느냐의 선택"이라고 밝혔다. 정 의원은 지난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전주을 선거에 출마해 국회의원에 당선된 바 있다. 당시에도 그는 여야 협치를 강조하는 '쌍발통 정치'를 주창했고, 민주당·국민의당 후보와 3파전에서 111표 차이로 승리했었다.

재선거의 낮은 투표율도 고려할 대목으로 꼽힌다.

전주을 유권자는 16만여명으로 지난 21대 총선에선 65%대를 보인 반면, 지방의원 무투표 당선자가 많은 지난해 6월 지방선거에선 40%에 머물렀다. 지역정가에선 이번 재선거 투표율을 35% 안팎으로 예상하고 있다. 선거에 실제 참여하는 유권자의 선택 비중이 그만큼 커진다는 뜻이다. 정권 심판, 민주당 독주 견제, 협치를 통한 변화 등의 주장도 덩달아 강해질 전망이다.

전주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이명환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