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4성장군 메모 놓고 해석 분분 … 중국 관영지 "무모·도발적"

2025년 미국과 중국의 전쟁을 경고한 미 공군 4성 장군의 메모를 둘러싼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 미 의회에서는 민주당과 공화당의 핵심 인사들이 메모의 현실가능성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내놓으며 공방을 벌였고, 중국의 관영지는 이번 메모가 무모할 뿐 아니라 도발적이라며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다.

27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 보도에 따르면 미 공군 공중기동사령부 마이클 미니헌 사령관은 최근 장병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전쟁 열망을 미국이 포착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며 미국과 중국 사이의 잠재적 충돌에 신속히 대비하라고 촉구했다. 미니헌 장군은 "내가 틀렸기를 바란다"면서도 "내 직감으로는 우리는 2025년에 싸울 것 같다"고 주장했다. 2025년을 꼽은 이유도 설명했다.

2025년 미중간 전쟁 가능성을 언급해 논란이 일고 있는 마이클 미니헌 사령관. 미니헌 사령관이 소장이던 2018년 한국을 방문해 수원공군기지에서 연설하고 있는 모습. 사진 출처 워싱턴포스트


그는 "시 주석은 세 번째 임기를 확보했고, 지난해 10월 전쟁관련 자문위원회를 설치했다"며 "대만 총통 선거가 2024년에 있는데 이는 시 주석에게 (전쟁의) 이유를 제공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2024년은 미국 대선이 있어 미국의 관심이 분산될 것"이라며 "시 주석의 팀, 이유, 기회가 모두 2025년에 맞춰져 있다"고 설명했다. 미니헌 장군이 미 국방부의 공식 입장은 아니지만 4성 장군의 공식 메모라는 점에서 적잖은 논란이 일고 있다.

공화당 소속 미 하원 외교위 마이클 매콜 위원장(텍사스주)은 이날 '폭스뉴스 선데이'에 출연해 미니헌 장군의 발언을 반복하며 "나는 그가 틀렸기를 바라지만, 불운하게도 그가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매콜 위원장은 중국이 대만과의 재통합을 강하게 원한다면서 2024년초 예정된 대만 선거에 중국이 영향을 미침으로써 대만의 중국 본토 귀속이 현실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러나 내 판단으로는 그들(중국)이 선거에서 이기지 못하면 군사적인 침공을 보게 될 것"이라며 "우리는 이것(군사적 침공)에 준비돼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재직 중인 바이든 대통령이 약한 모습을 보이면 이런 일이 벌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바이든 행정부가 아프가니스탄 철군 과정에 대혼란을 보이며 실패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게 됐다고도 주장했다.

곧이어 같은 방송에 출연한 하원 군사위 민주당 간사인 애담 스미스 의원(워싱턴주)은 이런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스미스 의원은 어떤 것이든 가능하고, 군대는 준비돼 있어야 한다고 전제하면서도 "(중국과의 전쟁은) 피할 수 없는 것이 아닐뿐더러, 매우 일어날 것 같지도 않다"고 밝혔다.

그는 "군 장성들은 그들이 말하는 것에 대해 매우 신중해야 한다"면서 미국은 중국과 전쟁을 벌이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미국이 중국과 전쟁을 벌이게 될 것이라고 전 세계에 말해서도 안된다고 비판했다.

중국 역시 이번 발언에 대해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계열 글로벌타임스는 29일 자국 전문가를 인용하는 형식으로 미국과 중국 사이 전략적 불신을 악화하고 긴장을 고조시키는 발언이라며 강하게 비난했다.

신창 중국 푸단대 미국학연구소 부소장은 "중국과 미국의 관계가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미 고위 장성이 이러한 대립적 발언을 하는 것은 상당히 도발적이고 무모한 것"이라며 "이런 발언은 중미 관계의 전략적 불신을 악화하고 양국 관계를 해칠 뿐"이라고 말했다.

또 "미국 고위 정치 지도자들은 이처럼 경솔한 발언이 중미 관계에 큰 피해를 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 군사전문가 쑹중핑은 "미군 장성은 중국의 군사력을 과장함으로써 자신의 군대에 더 많은 국방비가 쓰이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미군 지휘부는 전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항상 더 많은 국방비를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니헌 장군의 메모가 논란이 되자 패트릭 라이더 미 국방부 대변인은 "중국은 국방부를 추격하는 도전"이라며 "미국 관리들은 평화롭고 자유로우며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지역 보존을 위해 동맹국, 파트너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진화에 나섰다.

정재철 기자 jcjung@naeil.com

정재철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