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 추가 지정 건의

복지부 내년 예산 검토

전남도가 국가 첨단전략산업으로 지정된 바이오(생명공학) 분야를 집중 육성하게 될 첨단의료복합단지 추가 지정에 전력을 쏟고 있다. 업무를 맡은 복지부는 내년 예산에 추가 지정 필요성 등을 검토하는 타당성 용역비를 반영했다.

16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내년 정부 예산안 확정이 임박한 가운데 복지부가 대구와 충북 오송에 조성된 첨단의료복합단지 활성화 방안과 추가 지정 타당성 조사 용역비(10억원)를 반영했다. 복지부는 이 용역을 토대로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2024~2029년)을 수립할 방침이다. 용역비가 기획재정부 심의를 거쳐 내년 국가 예산에 반영되면 추가 지정 논의가 한층 탄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기획재정부와 복지부, 정치권 등을 잇달아 방문해 용역비 반영 필요성을 적극 설명하고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그동안 화순 백신산업특구와 인공지능(AI) 산업기반이 집적된 광주 첨단지구를 한데 묶어 백신과 AI 기반 융복합 의료기기를 연구 생산하는 첨단의료복합단지 추가 지정을 추진했다. 이 계획에 따라 지난 3월 '광주·전남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계획 수립 연구용역'에 착수했고, 오는 18일 중간보고회를 가질 예정이다.

백신과 AI기반 융복합 의료기기 연구 및 생산은 코로나와 생성형 AI 개발 이후 중요성이 한층 강조됐다. 정부도 이런 추세에 따라 바이오 분야를 국가첨단전략산업으로 지정했다.

광주와 전남은 이들 산업을 육성할 생산 기반이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화순 백신산업 특구에는 지난 2002년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이 들어섰다. 그 이후 화순전남대병원이 개원했고, 2009년 GC녹십자 화순공장을 유치했다. 또 15개 지원기관과 33개 기업이 바이오 클러스터를 구축했다. 이런 기반을 활용해 백신과 면역치료 중심 산업 생태계를 만들 계획이다. 광주는 의·치과 대학 4곳, 한국광기술원 등 연구기관, 광주테크노파크 등 지원기관 등을 갖추고 있다. 특히 광주 첨단3지구를 국가 AI 혁신거점으로 육성하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이런 강점을 내세워 추가 지정을 요구하고 있다. 광주·전남이 추가 지정될 경우 기존에 있는 충북 오송과 대구를 보완하게 된다. 정부는 2009년 충북 오송과 대구·경북에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조성했다. 오송은 10년 넘게 생명공학 기반 첨단의료기기와 항체 치료제 등 바이오 신약개발에 주력했다. 대구·경북은 정보통신 기반 첨단의료기기와 합성 신약 개발 등을 연구하고 지원했다. 두 곳 모두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연구결과를 기업에 이전하는 성과를 일궈냈다.

하지만 병원과 연계가 부족해 신약 및 의료기기 개발성과가 임상으로 연결되지 않아 산업화하는데 아쉬움을 남겼다. 특히 고령인구와 중증질환자가 급격히 늘어났고, 이에 대응하는 의료서비스 수요 또한 증가하면서 기능 보완 필요성이 높아졌다는 게 전남도 설명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복지부가 제5차 첨단의료복합단지 종합계획 수립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종합계획에 추가 지정 필요성이 반영되도록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방국진 기자 kjbang@naeil.com

방국진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