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화로 산업집적도 하락, 휴폐업부지 증가

산단공 '권역별 전문가포럼' 개최, 방안 논의

한국경제 성장의 기반이었던 산업단지 성장잠재력이 약화되고 있다. 특히 노후산업단지의 경우 부가가치율이 떨어지고, 공동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산업단지공단은 부각되고 있는 산업단지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8월 28일부터 충청권을 권역별로 전문가 포럼을 개최한다.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산업단지는 993개(국가 41, 일반 497, 도첨 11, 농공 444)다. 산업단지는 전국 제조업 생산의 65%, 수출의 76%, 고용의 44%를 담당하며 국가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

하지만 대부분 산업단지는 새로운 산업환경에 걸맞지 않다. 산업단지가 생산중심으로 조성되면서 공장만 있을 뿐 문화·휴식, 주차장 등 기반시설이 턱없이 부족하다. 특히 노후화된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공동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6월 현재 20년 이상 경과된 노후 산업단지는 87개다.

지난해 말 현대경제연구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입주기업 4개 업체 중 1개 업체(23.5%)는 이주를 고려하고 있으며, 이주를 고려하는 10개 업체 중 4개 업체(42.4%)는 국외 산업단지를 선호했다.

기업들의 해외 및 수도권 이전, 장기미착공업체 증가로 지방산단을 중심으로 휴·폐업 공장부지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휴·폐업 공장면적은 전국적으로 총 86만7744㎡(약 26만3000평) 규모로 서울디지털단지 면적의 약 60%에 달한다.

또 산업생태계 형성을 통한 시너지 효과의 바탕이 되는 산업단지 내 산업집적도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노후산단 일수록 일자리 창출 효과가 감소하고 있고, 고용되는 인력의 질(근로자 평균임금 비교)도 악화되고 있다. 면적당 고용증가율의 경우 1980~1990년대 조성된 산단은 64.4%이다. 반면 1960~1970년대 조성된 산단은 25.2%로 노후화될수록 고용창출 여력이 떨어졌다.

한편 산단공은 위기에 처한 산업단지를 미래성장거점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활동으로 권역별 전문가 포럼을 개최하기로 했다. 진기우 경쟁력서비스본부장은 "산업단지 당면 문제는 개별기업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고, 기업 지방자치단체 국가가 함께 해결할 사안"이라며 "포럼을 통해 산단의 구성원들이 해야 할 역할에 대해 되돌아보고 문제에 대한 인식 전환을 촉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권역별 전문가 포럼'은 오는 28일부터 충청권을 시작으로 출범한다. 이어 30일 대경권, 9월 3일 동남권, 10일 호남권 포럼이 예정돼 있으며 마지막으로 수도권 포럼이 발족하게 된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김형수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