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움직임 경계 '여전'

압박카드로 활용 가능성

미국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것이라는 우려는 해프닝으로 끝났다.

하지만 미국은 중국의 환율 투명성과 중국 위안화의 최근 약세를 특별히 우려하고 있다고 말하며 위안화 추가 약세에 대한 여전한 경계감을 드러냈다. 중국의 환율 관행을 꾸준히 모니터링할 것임을 강조해 향후 환율조작국 지정을 압박카드로 활용할 가능성도 큰 것으로 예상된다.

18일 KTB투자증권은 전일(현지시간) 미국 재무부가 밝힌 환율보고서에 대한 분석에서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우려는 일단 완화될 전망이지만 보고서 서두에서 위안화 약세에 대한 여전한 경계를 드러냈다"며 "미·중 무역분쟁이 단기간 내 해소되기 어렵고 트럼프 대통령은 약달러 선호스탠스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금융시장은 지준율 인하 등 중국의 통화완화 정책이나 위안화 절하를 양국 갈등 확대의 불씨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임혜윤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특히 트럼프는 대미 무역흑자 국가들의 통화가치 약세유도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고 무역분쟁이 지속되고 미국 무역적자가 줄어들지 않는 이상 트럼프는 계속해서 환율조작국 지정을 압박 또는 협상카드로 활용하려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KB증권은 미국이 이번에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은 것은 G20 정상회담을 염두에 둔 레버리지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문정희 KB증권 연구원은 "지난 9월 미국이 중국에게 2차 2000억달러 상당의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자, 곧바로 중국 정부는 예정돼 있던 장관급 회담을 취소했다"며 "G20 정상회담을 앞두고 굳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해 지난번과 같은 악수를 되풀이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안소은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최악의 시나리오로 여겨졌던 '미국의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이 현실화되지는 않았지만, 양국의 관계가 개선된 것은 아니라는 점에 주목했다. 안 연구원은 "이번 중국의 환율조작국 미지정은 트럼프의 의지는 있었지만 명분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며 "트럼프는 11월 미국 중간선거가 치러지기 전까지는 트럼프정부의 무역 및 환율 압박은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위안화의 약세 추세를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위안화는 미·중 금리차에 매우 밀접하게 연동되는데, 미·중 금리차 축소와 함께 자금 유출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안 연구원은 "미국은 12월 추가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있는 반면 경기 둔화가 가시화되고 있는 중국의 통화당국은 올해에만 4번에 걸쳐 지급준비율을 인하하는 등 완화적인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이강 인민은행장은 필요시 금리 정책이나 지준율 조정 등 충분한 정책 여력이 있음을 강조하면서,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도 내비친 상황으로 미국과 중국의 상반된 통화정책 기조를 감안할 때 미·중 금리차는 더 축소되면서 위안화 약세 압력을 높이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미 재무부 환율정책보고서 발표] 미·중 최악의 환율전쟁은 피했다

김영숙 기자 kys@naeil.com

김영숙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