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민 신원확인에 유용

기부에도 활용 가능

WFP 신기술 책임자

두나무(대표 이석우)가 개최한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2019(UDC 2019)'에서 유엔세계식량계획(WFP)이 블록체인을 접목시켜 인도적 지원활동에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5일 기조연설자로 참석한 후만 하다드 유엔세계식량계획 신기술 책임자는 "디지털 신원관리, 금융 수용성과 같은 당면 과제 해소에 있어 블록체인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면서 "실제 블록체인에 기반한 디지털 신원 관리를 통해 효율성이 크게 향상됐고 비용절감 효과도 있었다"고 밝혔다.

5일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2019(UDC 2019) 둘째날 기조연설 발표 중인 후만 하다드 신기술 책임자.


그의 설명에 따르면 기아 퇴치를 목적으로 하는 유엔세계식량계획은 과거엔 주로 쌀, 옥수수 같은 현물로 지원했지만 최근에는 현금을 지급하는 'CBT(Cash-Based Transfer) 지원'을 늘리고 있다. 현금으로 지원하면 수혜자가 원하는 식량을 선택할 수 있고 현지에서 곧바로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서 곡식을 사서 지원하는 것보다 비용이 덜 들어가고 그 지역의 경제를 살리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문제는 식량, 교육, 주거 등 각 분야의 여러 국제기구들이 현물 대신 현금 지급으로 지원형태를 바꾸면서 수혜자에게 서비스가 중복 제공되는 경우가 더 많아진 것이다. 이는 각 기구간 지원 시스템이 파편화돼 있기 때문이다. WFP는 WFP만의 에이전시를 통해 현금을 전달하고 다른 기구는 다른 에이전시와 계약해서 지급하기 때문에 중복 제공돼도 확인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바로 블록체인이다. 후만 하다드는 "블록체인을 통해 수혜자가 다른 기구로부터 어떤 지원을 받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돼 제한된 자원을 더 많은 사람에게 골고루 나눠줄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고국을 떠나온 난민의 경우에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신원 증명을 할 수 있다. 후만 하다드는 "난민은 아무런 공식 문서가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자신에 대해 증명할 방법이 없다"면서 "기구간 지원을 조율을 하려면 수혜자의 정보를 알아야 하는데 블록체인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WFP는 수혜자의 영양 지원 정보를 가지고 있고 WHO 등 보건기구는 수혜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가 있다. 수혜자의 이름을 몰라도 이런 정보 하나 하나가 그 사람의 아이디(신분증)가 될 수 있다.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이 정보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후만 하다드는 "영양 지원을 하는 데 있어서 수혜자가 여성인지, 20~30대인지, 아이가 있는지 등을 알면 훨씬 더 적절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다"면서 "생년월일, 이름, 성별과 같은 개인정보가 곧바로 블록체인에 저장돼서는 안 되고 지원에 필요한 기능적 데이터를 알기 위해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암호화폐의 활용에 대해 "신원 증명이 어려워 은행계좌를 못 만드는 사람도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를 사용하게 되면 지원을 받기가 쉬워진다"면서 "기부 측면에서도 송금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블록체인은 독점 아닌 협업 플랫폼"

박소원 기자 hopepark@naeil.com

박소원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