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코스닥 상승랠리 멈춰 … 증시 변동성 확대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와 불확실성이 반복되면서 증시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지난 주 미중 관세철회 합의소식으로 급등했던 세계 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합의 부정"발언으로 상승랠리를 멈췄다. 투자 심리 악화로 코스피와 코스닥은 지난 주 금요일에 이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미중 무역협상 신중론이 부각하면서 원달러 환율은 소폭 상승했다.

11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장 초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대비 1.84p(0.09%) 오른 2139.07에서 출발했으나 이내 약세로 전환해 장중 한때 2129.40까지 하락했다. 오전 9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5.56p(0.25%) 내린 2131.96을 가리켰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거래일 보다 1.66p(0.25%) 내린 662.94를 나타냈다.

이날 오전 원달러 환율은 소폭 상승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4원 오른 1159.0원으로 출발해 상승 폭을 줄였다. 오전 9시 5분 현재 전 거래일보다 0.9원 오른 달러당 1158.4원을 나타냈다.

미중 무역협상 관련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점이 시장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미중 갈등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지난 주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협상과 관련해 정해진 게 없다고 발언했다. 앞서 중국 정부는 미국과 중국이 단계적으로 서로 상대국에 부과 중인 고율 관세를 취소하기로 원칙적인 합의를 했다고 지난 7일 밝혔으나, 이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아무것도 합의하지 않았다"며 중국 측 발표를 사실상 부인한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1차 무역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은 커질 전망이다. 미국은 단계적인 무역협정을 통해 중국을 압박하고, 요구사항을 관철하겠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중국은 1차 무역협정부터 미국의 최대한 양보를 받아들이겠다는 의도를 표출했다. 미국과 중국 간의 이견조율까지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특히, 중국 상무부의 발언 중 '중국과 미국이 같은 비율의 관세를 동시에 철폐할 것'이라는 부분에 주목한다"며 "중국이 미국에 제시한 1단계 무역합의 조건으로 볼 수 있는데 '같은 비율로의 관세철회'는 미국이 수용하기에는 과도한 요구조건으로 중국에 매파적인 백악관 관료들의 불편한 심기를 자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양국의 협상이 결렬된 것은 아니라며 단계적 관세철회가 화두로 제기되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 연구원은 "미국과 중국 간의 이견에도 불구하고 단계적 관세철회가 화두로 제기되었다는 점은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변화로 볼 수 있다"며 "2020년 글로벌 증시 강세, 상승탄력을 높이는 중요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의 경우 현재 대미 무역실적이 저조하게 나타나면서 추가 관세의 여파가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지난달 중국 세관총서가 발표한 미국에 대한 수출과 수입(달러화기준)은 각각 16.2%, 14.3% 감소했다. 1~10월 중국의 대미 무역총액은 전년 동기비 14.9% 감소한 448억3000만달러로 수출과 수입은 전년 동기대비 각각 11.3%, 25.4% 줄었다.

하인환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9월 1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된 TV의 미국에 대한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43% 줄어들었고, 5월까지 25%의 관세가 부과된 가구 수출도 9월에는 37%감소하는 등 중국제조업 투자의 선행지표인 수출부진은 경기하강 장기화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미국과의 무역전쟁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소비자물가는 상승 중이다. 하지만 이는 경기가 좋아서가 아니라, 아프리카 돼지 열병으로 인한 상승이다. 10월 돈육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101% 급등하는 등 육류(돈육) 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하 연구원은 "경기 개선으로 나타난 물가 상승이 아니기 때문에, 중국은 돈육 가격 안정화가 시급한 상황"이라며 "미국 농산물 구매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또한 점차 조급해질 것으로 보인다. 하 연구원은 "관세 철회의 시기가 중국이 발표한 것과는 달리 늦춰질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내년 중 현실화될 가능성 높다고 판단한다"며 "중국과의 협상 장소로 트럼프 대통령이 아이오와주를 언급한 것은 트럼프 대통령 또한 '지지율' 관점에서 무역협상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미중 관세철폐 '밀당'] 세계증시 다시 불확실성 속으로

김영숙 기자 kys@naeil.com

김영숙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