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팀 구성·용역 진행

"경쟁과열, 중단 빌미"

중앙정부의 제2차 공공기관 이전 움직임에 비수도권 지방자치단체 대응도 본격화되고 있다. 앞서 1차로 이전한 공공기관과 연계한 추가기관 유치는 물론 '알짜기관' 유치에도 힘을 쏟고 있다.

3일 비수도권 각 광역지자체에 따르면 이들은 최근 제2차 공공기관 이전 가능성이 커지면서 일제히 이에 대비한 특별팀(TF) 구성, 용역 진행 등 대책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부산시는 산업은행에 이어 수협중앙회까지 유치해 해양금융중심지로 도약한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산업은행은 현 정권 공약사항으로 이전에 힘이 실리는 중이다. 수협중앙회는 안병길 의원이 지난해 말 본점 소재지를 변경하는 수협법 개정안을 발의한 상태다.

경남도는 기계 조선 등 기존 전략산업에 더해 항공과 나노 등 4차산업 전반에 시너지를 내는 공공기관 이전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전남 나주에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를 조성했던 광주시는 기존 도심부지에 혁신도시를 만들 수 있다는 정부 방침에 따라 유치가 가능한 부지를 물색 중이다. 또 유치 가능한 공공기관을 분석해 공공기관 시즌2에 대비하고 있다.

전남도는 농협중앙회 등 41개 유치기관을 발표했지만 정권교체 후 정부의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 대비해 지난해 11월 '수도권 공공기관 2차 이전 유치 전략' 용역을 의뢰했다. 전남도는 오는 2월까지 용역을 마무리하고 유치기관을 다시 선정할 예정이다.

전북도는 한국투자공사의 전북 이전을 촉구하고 있다. 올 2월까지 공공기관 추가이전 관련 유치전략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전북도는 전북혁신도시에 자리잡은 국민연금과 한국투자공사를 묶는 '전북 금융중심지' 지정을 구상하고 있다. 전북금융중심지 지정은 윤석열 대통령의 전북공약으로 국내 1, 2위 자산운용 기관을 집적화해 가장 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논리다.

경북도는 이달희 경제부지사를 단장으로 특별팀(TF)을 구성해 지역산업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36개의 유치희망 기관을 선정하고 유치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 2020년 11월 유치 대상기관을 선정했지만 최근 민선8기 홍준표 대구시장의 정책방향에 부합하는 5대 미래산업을 중심으로 이전 대상 기관을 재발굴하기로 했다.

기존 유치대상에 산업진흥, 헬스 케어, 환경에너지 기능군 및 전략유치 산업분야와 관련된 기관을 추가로 유치할 계획이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2020년 혁신도시에 추가로 지정됐다. 대전시는 대전역세권과 연축지구를 대상으로 철도, 중소기업, 과학기술 등 분야의 공공기관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충남도는 내포신도시를 혁신도시로 지정하고 환경·에너지 등 분야의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충남의 경우 후발주자인 만큼 우선권을 부여하는 '드래프트제' 도입을 주장하며 일단 규모가 큰 기관의 이전을 요청하고 있다.

강원도는 김진태 지사가 공약으로 내건 한국은행 본점 유치를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다만 법 개정이 필요한 사안이라 당장 이전하는 게 쉽지 않다고 보고 그에 상응하는 금융기관 유치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제주도는 별도의 공공기관 유치 TF를 구성해 지난해 4월까지 내부 용역을 진행하는 등 유치 전략을 수립해왔다.

당초 계획은 한국공항공사를 비롯한 항공 관련 기관을 유치할 계획이었으나 쉽지 않다고 보고 관광·국제 등 새로운 유치기관을 발굴 중이다. 제주혁신도시에 이전해 있는 9개 기관과 유사 기능 기관들은 1차 목표다.

이두영 균형발전국민포럼 공동대표는 "지자체간 경쟁과열은 공공기관 이전을 중단시키는 빌미를 줄 수 있다"면서 "비수도권 단체장들이 정파 이념 지역을 넘어서 한 목소리를 내는 게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2023년 지방시대 과제와 전망" 연재기사]

김신일 최세호 방국진 곽재우 이명환 윤여운 기자 yuyoon@naeil.com

윤여운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