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물가 3개월 연속 상승세 기록

지정학리스크에 4월 더 오를 수도

환율까지 출렁 ‘신3고’ 우려 커져

정부, 비상대응체제로 총력전 예고

중동 정세 불안에 따른 악재가 본격화하며 한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제유가는 배럴당 90달러는 넘어서, 물가를 자극하고 있다.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인 수입물가는 상승폭을 더 키워 향후 물가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최근까지 급등하며 한미일 3국 재무장관들이 공동대응을 거론할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올해 초 과일과 농산물 물가를 잡기 위해 총력전을 폈던 정부는 난감한 상황이다.

총선 이후 가공식품을 비롯해 공산품, 공공요금 등 물가 상승 압박이 심화될 수 있어서다.

◆계속 오르는 수입물가 = 18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수입물가지수는 137.85(2015=100)로 전월(137.24)대비 0.4% 상승했다. 수입물가는 1월 이후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3월 수입물가 상승의 이유는 국제유가였다. 두바이유 가격은 지난 2월 배럴당 80.88달러를 기록했지만 3월에는 84.18달러로 4.1% 상승했다. 이에 따라 광산품, 석탄, 석유제품, 1차금속제품 등의 가격이 오른 것이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4월 수입물가도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 지난 16일(현지시각)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 인도분 두바이유 가격은 전일대비 0.04센트 내린 89.91달러를 기록했다. 이달 5일 90.74달러를 기록한 뒤 90달러를 경계로 횡보하고 있는 중이다.

중동 정세 불안이 고조되고 있는 것이 큰 요인으로 꼽힌다.

두바이유 가격이 90달러를 넘어 100달러로 치솟을 수 있는데다 원달러 환율도 1400원 이상으로 뛰어오를 수 있어서다. 4월 이후 수입물가는 걷잡을 수 없이 뛸 공산도 크다.

통상 수입물가는 시차를 두고 국내물가에 직접영향을 준다. 4월 이후에도 상당기간 국내 물가전망이 밝지 않다는 얘기다.

◆쌓이는 물가 상승 압력 = 정부는 지난달 물가 안정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쏟아냈다.

농수산물에 대한 선별적 납품단가 지원 및 할인지원 등이다. 정부는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 1500억원을 긴급 투입하고 할인판매 지원 등 특단의 조치를 실시했다.

4월 들어서는 전월대비 가격이 안정세에 들어선 품목을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고 가격 변동성이 커진 품목을 집중 지원해 물가 안정을 도모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4월 이후에는 물가상승 압력이 전방위적으로 확산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국제 유가와 환율 상승 여파로 가공식품을 비롯해 공산품, 외식물가, 공공요금 등에서 가격 인상 압박이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산을 투입하는 방식의 지원으로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정부는 이란이 이스라엘에 대한 보복 공격을 감행한 이후 수출 타격과 공급망 위기가 본격화될 수 있는 만큼 비상대응반을 가동,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상황별 대응에 총력전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선제적인 대책으로 정부는 4월말로 예정된 유류세 인하 조치를 6월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인하율은 휘발유 25%, 경유·액화석유가스(LPG) 37% 등이다. 이와 함께 경유·압축천연가스(CNG) 유가 연동 보조금을 추가 연장한다는 방침이다.

◆억눌러둔 물가, 선거 이후가 문제 = 이같은 정부대응이 물가억제에 효과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4·10 총선을 의식해 억눌러뒀던 전방위 가격인상이 현실화되고 있어서다.

실제 식품·생필품 제조업체들은 원재료 가격 상승 등에 따른 생산비 부담 증가를 이유로 줄줄이 가격인상에 나섰다. CU, GS25, 세븐일레븐 등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내달 1일부터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볼펜 등 일부 생필품과 가공식품 가격이 100~500원 오른다. 원·부자재 가격이 오르며 납품단가가 인상된 데 따른 여파다. 외식업체, 가공식품업계 등의 제품가 인상도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고환율·고유가 장기화는 전기·가스 요금 인상압력을 키운다. 총선을 앞두고 공공요금 인상을 억제해 왔지만 대외변수가 출렁이면서 한계에 부딪힐 수 있다. 물가불안을 부추길 요인이다.

실제 한국전력의 누적적자가 심화되면서 전기요금 인상 필요성이 대두된다. 한전은 지난 2022년 이후 여러 차례의 전기요금 인상으로 손해를 보고 전기를 파는 국면에서는 일단 벗어났지만 여전히 43조원의 누적적자를 기록 중이다. 유가와 환율의 동반 상승은 한전의 수익성에 부정적이다. 한국가스공사 역시 에너지 가격과 환율 상승에 따른 가격상승 압력을 받고 있다는 후문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중동불안이 커지면서 물가상황도 어려운 상황”이라면서도 “상반기는 3%대가 불가피하더라도 하반기에는 2%대로 안착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성홍식 기자 king@naeil.com

성홍식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