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시·도 17곳 지정 신청

국토부, 다음달 5~6곳 지정

미분양대책 등 희비 가를듯

국토교통부의 신규 국가산업단지 선정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막바지 유치 총력전을 펴고 있다. 국가산업단지는 국토부가 지정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 같은 국가공공기관이 시행자로 참여하기 때문에 지자체 부담이 적은 국가사업이다.

31일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오는 2월 중 신규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선정이 발표될 예정인 가운데 지난해 전국 9개 시도가 17곳(시군)의 후보지를 신규 국가산업단지로 지정해 줄 것을 국토교통부에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 충남 전북이 각 3곳을, 전남 경남 등이 각 2곳을, 대구 대전 광주 강원 등이 각 1곳을 신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일부 지자체는 현장실사과정을 거치면서 최종 신청에서 빠졌거나 공식 확인되지 않은 곳도 있다.

지자체 가운데 경북도가 가장 적극적이다. 경북도는 윤석열정부 국정과제와 지역공약에 반영된 사업 중 원자력 수소 백신산업을 주력산업으로 정하고 각각 경주 울진 안동에 새로운 국가산단을 유치하기로 했다. 3개 산업단지 조성규모는 440만㎡에 이른다. 박동엽 경북도 건설도시국장은 "3곳 후보지 모두 지역의 산업특징과 연관기업, 공공기관 집적도, 인근 지역과의 연계성이 높고 토지개발에 따른 규제지역이 없기 때문에 원활한 사업추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며 "어느 때 보다 국가산단 선정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고 말했다.

대구시도 제2국가산업단지 조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미래모빌리티(미래차 로봇) 등 첨단제조업,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지식서비스업 등을 유치할 스마트기술산업단지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대구시는 스마트기술산업단지가 대구를 미래형 첨단산업도시로 만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기반이라고 보고 유치전에 나섰다. 신청 규모는 지정면적 329만4000㎡에 산업시설용지 141만㎡다. 대구는 한동안 국가산단이 없는 유일한 광역지자체였다가 2009년 위천산단이 국가과학산단으로 지정되면서 한 곳이 생겼다.

충청권도 국가산단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대전시가 신청한 분야는 나노·반도체 등 미래전략산업이다. 562만㎡ 면적에 나노·반도체, 바이오헬스, 항공우주, 방산 등 4대 미래전략 기업 등을 유치하겠다는 구상이다. 충남도는 3곳이 국가산단 유치를 신청했다. 천안시는 성환읍에 위치한 천안 종축장에 '미래모빌리티 국가산단'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416만㎡ 면적에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등 업체 유치를 계획하고 있다. 충남도청이 위치한 내포신도시 홍성군과 예산군도 각각 도전장을 내밀었다. 홍성군은 홍북읍 일원 235만㎡에 '내포 뉴그린 국가산단'을 조성해 수소 친환경자동차 2차전지 등 업체를, 예산군은 삽교읍 일원 254만㎡에 '내포 스마트그린 국가산단'을 조성해 친환경 자율주행차, 부품 관련 기업 유치를 꾀하고 있다.

호남권 지자체들의 경쟁도 치열하다. 전북도는 국가식품클러스터 2단계(익산), 탄소중립(전주), 수소특화(완주) 등의 유치를 희망하고 있고, 광주시는 미래자동차 국가산업단지 지정을 자신하고 있다. 특히 광주시는 광주를 미래 모빌리티 선도도시로 조성하겠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공약에 기대를 거는 눈치다. 이미 연간 72만대 생산능력을 갖춘 완성차공장 2곳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경쟁력이다.

경남은 창원과 김해 두 곳의 경쟁력에 기대를 걸고 있다. 50년 만에 국가산단 신규 지정을 노리는 창원은 원전과 방산을 중심으로 특화된 국가산단을 신청했다. 프랑스 그르노블과 일본 센다이가 롤 모델이다. 두 도시 모두 방산기업 집적화와 지속적인 연구개발(R&D)을 통한 기술의 첨단화로 세계적인 경쟁력이 있다는 게 특징이다. 김해시는 지능기계로봇과 바이오헬스 분야를 중점 육성하는 국가산단을 준비하고 있다. 생명공학과 의학·약학 지식을 기초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의생명 중심 국가산단으로 조성하는 청사진을 구상 중이다.

한편 국토부는 최근 국가산단 신규지정을 신청한 9개 시·도에 개발공사 참여의향, 미분양대책, 사업비 지원검토 등에 대한 지자체 계획을 제출하도록 요구했다. 이 때문에 국가산단 지정을 결정지을 경쟁력이 지자체 지원 계획에 달려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국토부는 최종 심사를 거쳐 다음달 중 5~6곳을 신규 국가산단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최세호 방국진 윤여운 곽재우 기자 seho@naeil.com

최세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