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이 인공지능(AI) 전문인재가 주요국가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새로운 육성전략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0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박 동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에 의뢰해 작성한 '한미중 AI 인재 확보 전략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AI 인재 수는 글로벌 22위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AI 전문 연구기관인 '엘리먼트 AI'가 발표한 '2020 글로벌 AI 인재보고'를 인용해 한국이 보유한 AI 인재 수가 2551명, 전 세계의 0.5%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순위를 보면 1위는 미국(18만8300명·39.4%), 2위는 인도(7만6213명·15.9%), 3위는 영국(3만5401명·7.4%), 4위는 중국(2만2191명·4.6%)이었다.
한국은 30개국 가운데 이스라엘(14위) 일본(16위) 등에도 뒤진 22위에 그쳤다.
보고서는 "정부가 몇가지 인재육성 전략을 내놓기는 했지만 여려 부처별로 산발적이고 체계적이지 않다"며 "미국이나 중국 등 AI선진국의 전략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범정부 차원 컨트롤타워 구축 △초중고 기초교육 강화 △해외인재 영입기반 정비 세가지 측면에서 전략 보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보고서는 우선 범정부 차원 컨트롤타워 문제를 지적했다. 미국과 중국은 AI 인재 양성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존재하지만, 한국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4개 부처가 산발적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은 교육부가 초중고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을 총괄하고, 중국은 국무원을 중심으로 AI 발전계획을 수립해 일관되고 통합적인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보고서는 한국 초중고 AI 교육의 체계성, 교사의 전문성도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미국의 경우 2021년 '모두를 위한 컴퓨터 과학법'을 통과시켜 컴퓨터·과학 교육을 확대하려는 주 또는 지방 교육기관에 보조금을 지급하도록 하고 있다.
중국은 2001년부터 정보기술 과목을 의무교육으로 설정했으며 교육 시간도 한국보다 월등히 많은 시간을 편성하고 있다.
이에 반해 한국은 2018년부터 초등(5∼6학년) 17시간, 중등 34시간, 고등학교는 선택과목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교육 시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또 AI 관련 교사확보 측면에서도 현직 교사 가운데 희망자를 재교육하는 방식으로 인력수급을 해소하고 있어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신규교사 임용 시 AI 자격증을 필수로 하자고 제안했다.
보고서는 마지막으로 해외 인재 영입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간 차원에서 높은 급여, 매력적인 연구 환경 등을 제공해 우수 인력을 유치함과 동시에 정부 차원에서 외국인 비자 규제 완화 등을 통헤 세계적 인재 영입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성수 기자 ssgo@n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