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를 개발해 인공지능 붐을 선도해온 오픈AI의 이사회가 샘 올트먼 전 최고경영자(CEO)를 해고한 데 대해 직원들이 크게 반발하면서 오픈AI가 극심한 내홍에 빠져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국 언론들은 20일(현지시간) 오픈AI 직원 중 상당수가 올트먼의 해임을 결정한 이사회 멤버의 전원 사임을 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직원들은 이사회 사임을 요구하는 연판장을 돌렸다. 뉴욕타임스(NYT)가 입수해 이날 공개한 직원들의 서한에 서명한 직원은 총 702명이다. 블룸버그통신 등은 당초 서명 인원을 500명으로 전했으나 실제론 크게 늘었다. 현재 오픈AI 직원이 770명가량인 것을 고려하면 90%에 해당한다. 이들은 이사회 전원 사임을 촉구하는 한편, 올트먼의 복귀를 요구하고 있다.
이사회가 사임하지 않을 경우 올트먼 전 CEO를 따라 회사를 떠나겠다며 초강수를 두고 있다.
이들은 "샘 올트먼과 그레그 브록먼을 이사회에서 해임한 과정은 우리의 사명과 회사를 약화시켰다"면서 사태 직후 '리더십 팀'을 구성해 이사회와 협상했지만 "이사회가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할 구체적 사실을 제공해달라는 많은 요청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서면에 증거도 내놓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들은 "이사회의 행동은 오픈AI를 감독할 능력이 없다는 것을 명백히 보여줬다"고 지적한 뒤 "우리는 우리의 사명과 능력, 판단력, 직원에 대한 배려심이 부족한 사람들과 함께 일할 수 없다"면서 이사회 전원의 사임과 회사를 안정적으로 이끌 자격을 갖춘 새 이사회 구성을 요구했다. 특히 이들은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올트먼과 브록먼이 이끌 새 자회사에 우리가 합류하기를 원할 경우 모든 오픈AI 직원을 위한 자리가 있다고 보장했다"고 강조했다.
명단에는 이사회 멤버인 일리야 수츠케버 수석 과학자도 이름을 올렸다. 일리야는 올트먼 해임을 결정한 이사회 멤버 4명 중 한 명이다.
그는 이날 오전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글을 올려 "이사회 결정에 참여한 것을 깊이 후회한다. 나는 오픈AI를 해롭게 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가 함께 구축해온 모든 것을 사랑하며 회사가 다시 뭉치도록 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썼다.
직원들은 자신들의 X 계정에 "오픈AI는 직원 없이는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메시지를 잇따라 올렸고, 올트먼은 이에 하트 이모티콘으로 응답했다.
올트먼은 그러면서 자신의 SNS에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단합하고 헌신하고 집중해야 한다"고 썼다. 이어 "우리는 언제, 어떤 식으로든 함께 일하게 될 것"이라며 "하나의 팀, 하나의 미션, 나는 정말 흥분된다"고 적었다. 올트먼 전 CEO는 오픈AI 이사회 의장이었던 공동 창업자 그레그 브록먼과 함께 MS에 합류할 것으로 알려졌다.
사티아 나델라 MS CEO는 이날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올트먼 전 CEO와 브록먼이 MS에 합류해 새로운 첨단 AI 연구팀을 이끌 것이라고 밝혔다.
올트먼은 전날까지 오픈AI 측과 CEO 복귀에 대해 논의했으나, 현 이사 전원 사임과 새 이사회 구성 등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서 결국 MS행을 택했다.
새 이사진에는 세일즈포스의 전 공동 CEO인 브렛 테일러, 에어비앤비 CEO이자 올트먼의 오랜 친구인 브라이언 체스키, 에머슨 컬렉티브의 설립자 겸 사장인 로렌 파월 잡스 등이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오픈AI 이사회는 올트먼과 브록먼 등 6명이었으나, 이들이 해임되면서 수츠케버 수석 과학자, 소셜 지식공유 플랫폼 쿼라 CEO 애덤 디엔젤로, 기술 사업가 타샤 맥컬리, 조지타운 보안 및 신흥 기술 센터의 헬렌 토너 등 4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런 가운데 오픈AI 임시 CEO를 맡은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인 트위치 공동창업자인 에멧 시어는 올트먼 해임을 둘러싼 일련의 과정을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자신의 X 계정에 "올트먼의 해임과 관련된 절차와 소통이 매우 잘못 처리돼 우리 신뢰가 심각하게 손상된 것은 분명하다"며 "필요하다면 지배구조 변경도 강력하게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한면택 특파원 · 김상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