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생산인구 100명이 4명 돌봐 … "노인주치의 도입, 만성질환관리 강화"

치매환자가 계속 늘어나면서 치매환자 1인에 대해 사용되는 비용은 연 2074만원 정도 되는 등 치매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2030년 생산가능인구(15∼64세) 100명이 치매환자 4명을 돌봐야 하는 상황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치매발생을 예방하는 정책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 나온다.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가 20일 발간한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8'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65세이상 노인인구 가운데 치매환자는 70만5473명으로 추정됐다. 전체 노인 706만명 가운데 10%에 해당된다.

60∼64세 1만9430명인 치매환자는 이후 급격히 늘어나 85세이상 노인구간에서는 23만1412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렇게 급증하는 치매환자 가운데 치매로 숨진 사람은 2017년 9291명으로 10년전 2007년 4818명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치매로 인한 비용 지출도 심화되고 있다. 치매노인실태조사 보고서(2011년)에 따라 치매환자 1인당 연간 관리비용이 2017년 2074만3154원으로 추정됐다.

의료비 등이 1106만원, 간병비 등이 678만원, 장기요양비용 268만원 등으로 추정된다. 중증 치매환자의 1인당 연간 관리비용은 이보다 훨씬 많은 3252만원이었다.

이에 따른 총 치매노인 관리비용은 14조 6337억원. 국내 총생산 0.84% 수준으로 추정된다.

또한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돌봐야 하는 치매노인은 2017년 1.9명으로 나타났다. 2030명 4.0명, 2060년에는 14.8명으로 늘어났다.

2017년 전국적으로 치매부양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으로 3.6명이었다. 전북은 3.0명, 경북 2.9명, 강원 2.7명, 충남 2.8명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천 세종 경기 등은 1.5명, 서울 광주 등은 1.6명으로 상대적으로 부양비율이 낮았다.

한편 학대받거나 실종되는 치매환자 수가 늘어나고 있다.

노인학대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 중 학대 피해자가 치매환자인 경우가 2013년 831명, 2014년 949명, 2015년 1030명, 2016년 1114명, 2017년 1122명으로 해마다 늘었다.

2017년 노인학대 피해자가 4622명이었고 이 가운데 치매환자는 24.3%로 4명 중 1명이 치매환자였다.

실종 치매환자도 2012년 7650명, 2013년 8207명, 2014년 9046명, 2015년 9869명, 2016년 1만308명으로 늘었다. 치매환자 전체 70만5473명 가운데 1.5%가 실종된 셈이다.

이렇게 급증한 치매에 대한 사회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문재인정부는 치매국가책임제를 도입하는 등 치매환자들의 의료와 요양 복지서비스를 연계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임종한 한국일차보건의료학회 회장(인하대 의대 교수)는 "치매는 복합적 만성질환이 악화된 결과 나타나는 것으로 치매 발생자에게만 대응하는 것은 깨진 독이 물 붓기와 같은 것"이라며 "치매환자들을 위한 지역통합서비스를 제공하고 것과 더불어 만성질환 관리와 노인주치의제를 도입해 치매환자 발생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규철 기자 gckim1026@naeil.com

김규철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