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경제활력회의서 확정 … 2023년까지, 해양관광 확대

정부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주재로 제16차 경제활력대책회의 겸 제15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해양레저관광 활성화 대책'을 확정했다.

해양레저관광의 부가가치를 높여 일자리를 창출하는 이번 대책은 2017년 기준 580만명(통계진흥원)인 해양레저관광객을 2023년 1000만명으로, 같은 기간 659만명인 섬 관광 방문객을 1000만명으로 확대해 해양관광분야에서 3000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 해양수산부는 올해 말까지 전국 해역을 지리·환경 특성에 따라 7개 권역으로 나누고, 권역별 특성에 맞는 해양레저관광 거점을 조성해 명소로 육성할 계획이다.

임지현 해수부 해양레저관광과장은 "수도권은 도시위락형 마리나, 서해안권은 해양문화·생태관광, 다도해권은 섬·연안·어촌을 연계한 체험 등으로 거점마다 테마 콘텐츠를 개발하고, 인공서핑장 다이빙풀 글램핑장 등 시설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권은 수중레저, 한려수도권은 휴양·치유형 체류, 동남권은 친수문화 선도, 동해안권은 해양레저스포츠 중심으로 육성할 것을 함께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국내외 흐름을 고려할 때 해양레저관광 분야가 경제활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관광기구(UNWTO)는 최근 10년간 연평균 3.9% 이상 성장 중인 세계 관광시장에서 해양관광 비중이 약 50%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17년 기준 세계 관광객 규모는 13억명, 시장규모는 1460조원으로 추산했다.

이에 따라 세계 주요 선진국은 해양기반 경제규모에서 해양관광이 차지하는 경제적 가치를 측정·산출하며 적극 육성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전체 해양산업(361조) 중 해양관광은 135조원 규모로 36.1%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엔 보트소매업, 음식업, 호텔 및 숙박시설업, 마리나, 레저용 차량주차장 및 캠프장, 수상관광투어, 오락 서비스업, 동물원·수족관이 포함돼 있다

프랑스의 경우 23조원 규모 해양경제에서 해양관광은 53.9%를 차지하고 있고, 스페인도 30조원 해양경제에서 75.5% 비중을 갖고 있다. 유럽 전체의 해양산업 218조원 중 해양관광은 90조원 규모로 41.2%에 이른다. 유럽의 경우 숙박, 여객, 기타 지출로만 분류한 규모다.

해수부는 선진국 수준으로 해양레저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카누 요트 등 레저선박으로 이동하는 '케이 해양루트(K-Ocean Route)'도 조성할 계획이다.

해양레저관광거점을 중심으로 거점형 마리나, 어촌마리나역, 기항지, 인근 섬 등을 연계한 레저선박 항로는 반나절 이동거리(30km 내외)마다 계류시설이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어촌체험관광을 다양하고 쾌적하게 즐길 수 있도록 콘텐츠를 내실화하고, 체험마을 등급도 부여해 관광객의 선택을 돕기로 했다. 섬관광도 경관 생태 역사·문화 등 섬의 고유한 특징을 활용해 해양관광의 대표 콘텐츠가 될 수 있도록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임 과장은 "목표달성을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와 분기별로 관광전략회의를 열어 중감점검을 하고 총리에게 보고하게 돼 있다"며 "예산 증액이 필요한 부분도 반영될 수 있도록 재정당국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정연근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