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0시 현재 8269명(대구 6886명, 경북 1383명)의 확진자를 내며 대구경북을 휩쓸었던 코로나19 사태가 다소 안정세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아직 전쟁은 끝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의 ‘2차 대유행’을 경고한다.

우려대로 대유행이 다시 벌어진다면, 1차 대유행 당시 가장 치열한 사투를 벌였던 ‘대구형 K방역’이 세계적 롤모델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시민 참여를 통해 마련한 ‘대구형 생활방역’이 모범이 될 수 있다.

그동안 일본 아사히 마이니치신문, 독일 슈피겔,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들은 대구가 사회적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등 방역대책에 어떻게 시민들을 동참시켰는지에 관심을 보였다.

전국 유일 ‘대구형 7대 생활수칙’

코로나19를 차단하면서 일상으로 돌아가려면 시민들이 습관처럼 자연스럽게 실천할 수 있는 예방수칙이 필요하다. 특히 현장을 잘 아는 시민들이 의견을 내 예방수칙을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 대구시는 시민 200여명이 참여한 ‘코로나19 극복 범시민 대책위원회’를 구성, 5차례에 걸친 회의를 진행했다. 현재 대구에 적용중인 전국 유일의 ‘7대 생활수칙’은 정부 수칙보다 한층 강화된 내용을 담고 있다. 가령 정부 수칙의 ‘아프면 3~ 4일 집에 머물기’는 ‘증상이 있으면 바로 검사받기’로 강화됐고, ‘마스크 착용 생활화’와 ‘집회·모임·회식 자제하기’가 추가됐다.

최근 코로나19가 안정세에 접어든 것은 이같은 ‘대구형 방역모델’이 큰 역할을 했다고 본다. 적극적인 검사와 환자 치료의 중심에 방역당국과 의료계가 있다면 예방의 주축은 시민이다. 시민사회가 지금처럼 수준 높은 방역의식을 보여준다면 대구경북은 더 안전해질 수 있을 것이다.

대구시는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발 빠르게 ‘2차 대유행’을 대비하고 있다. 지난 대유행 때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겪었던 현장 문제들을 보완해 계획을 마련했다. 특히 지금보다 더 많은 확진자가 나올 것을 가정한 상태에서 지역 내 자원만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전략을 세웠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 계획은 대구 인구의 0.5%인 1만2000명이 감염된다는 가정 아래 세워졌다.

지난 대유행 초기에 확진받은 순서대로 입원한 탓에 중증환자 병실이 모자라는 상황이 있었다. 이에 사태 초기부터 병원과 생활치료센터를 함께 가동해 중증도에 따라 입원과 생활치료를 나누도록 체계를 보완할 것이다.

또 확진돼도 입원이 어려운 고위험군에 대한 대비책도 마련했다. 다른 환자와 함께 입원하기 어려운 장기요양환자와 정신질환자, 임산부, 아동 등을 전담할 시설을 지정하고, 집단감염이 발생했던 사회복지생활시설과 요양병원 등에 대한 관리도 강화한다.

하루 검체·검사량도 더 늘릴 예정이다. 보건소 선별진료소를 비롯해 워킹스루와 드라이브스루 등을 통해 현재 하루 3360건 수준인 검체 역량을 9080건까지 대폭 확충한다. 보건환경연구원과 병원들의 검사도 확대한다. 아울러 역학조사관을 6명에서 30명으로 늘리고, 의사 372명, 간호사 2416명 등 의료인력도 확보한다.

지자체 중 가장 빠르게 2차 대유행 대비

아무리 좋은 정책들이 있다고 해도 대구경북 시도민들이 이번 코로나19 사태에서 보여준 수준 높은 시민의식이 없다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앞으로도 예방수칙을 만들고, 이에 맞춰 행동하는 일 모두 대구경북 시도민들의 적극적인 동참 없이는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구경북이 사회적 거리두기 등 K방역의 모델이 된 것은 시민들이 최강의 백신이었기 때문에 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