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는 40여년 서울시 짐을 떠안아왔다. 기피시설 곳간 역할을 해온 것이다. 그것도 경기도에서 가장 많다.

서울시 장례시설의 경우 정작 서울에는 단 한곳뿐이고 고양시에는 서울시립승화원 등 3곳이 설치돼 대기오염과 교통체증을 유발해왔다. 또 덕양구 현천동에 위치한 난지물재생센터는 악취문제 등 민원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양시 면적 중 서울과 인접한 4000만평 가량이 그린벨트로 묶여 시민들의 사유재산권을 침해당해왔다. 이 밖에도 고양시민이 그동안 서울시민들의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해 숱한 불편을 감내해왔음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관내 시설엔 투자, 타 지역 시설은 모르쇠

서울시는 서초구의 서울추모공원을 계획단계부터 주민친화적 시설로 만들기 위해 첨단기술을 도입, 매연 없는 친환경 시설로 건립한 바 있다.

또한 중랑물재생센터는 지하화·공원화로 악취문제를 해결했을 뿐 아니라 6000억원을 투입해 2028년부터 센터 내 산·학·관을 연계하는 ‘서울형 물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하는 등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임을 밝혔다.

이에 반해 고양시 대자동에 위치한 서울시립승화원은 서울추모공원보다 두배 이상 많은 화장 수요를 감당하느라 매연과 교통정체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지만 이렇다 할 해결방안은 마련하지 않았다.

특히 5000가구 대규모 단지가 들어설 덕은지구 조성계획에 따르면 난지물재생센터 1㎞ 앞에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위치하게 된다. 때문에 입주 예정자들의 불안 섞인 항의가 계속되고 있음에도 서울시는 발암물질과 악취에 대한 확실한 해결책을 마련하지 않은 채 재가동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한다.

이와 같이 서울시는 자신들의 관내 기피시설에는 지속적인 관심과 현대화를 위한 막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으면서도 고양시 등 경기도 지역에 떠넘긴 기피시설에 대해서는 사실상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서울시는 최근 고양시가 계속 요구해온 ‘도시연담화 방지 숲’ 조성 대신 은평차고지 개발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일방적으로 발표했다. 앞서 수색철도차량기지 개발을 위해 고양시에 또 다른 기피시설인 기지창을 이전하려고까지 했다.

선출될 서울시장, 상생의 선례 만들길

고양시가 서울시의 곳간인가? 입으로는 상생하겠다고 하면서 실상은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현재의 서울시는 참으로 어른스럽지 못하다. 늘 이런 식이니 고양시민들은 고통을 넘어 분통을 터트리는 것이다.

서울시장 예비후보자들은 더 이상 서울시민만을 위한 도시계획을 계속해서는 인접도시와의 상생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서울시의 발전 또한 불가능하다는 것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이제는 서울시의 일방적인 발전에만 집중된 공약을 내놓을 것이 아니라 누군가 받을 고통부터 챙겨야 한다. 겉으로는 협의를 말하지만 실상은 늘 외면이었다. 새 서울시장은 서울시민의 쾌적함은 지켜내면서도 고양시민의 불편을 외면한 잘못된 관행을 답습하지 않기를 바란다.

어찌 보면 서울시민들을 위해 관내 기피시설을 현대화하고 지하화하려는 태도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결자해지’가 답이다. 갈등과 외면이 아닌 다음 세대에 부끄러움이 없을 상생의 선례를 남김으로써 대한민국 지방자치 발전사의 새로운 모델을 함께 만들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