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장선 경기 평택시장

한국전쟁 직후 평택은 '기회의 땅'이었다. 미군 특수를 누리는 팽성이나 송탄지역으로 희망과 꿈을 안고 찾아오는 사람들이 많았다. 하지만 '기지촌' 이미지가 강했고 산업기반은 약해 경제도약의 기회는 없었다. 그러나 지금 평택은 다시 기회의 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인구 변화만 봐도 평택을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선택한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 알 수 있다. 현재의 평택시 행정구역은 평택시·송탄시·평택군이 통합되면서 형성됐다. 1980년까지 '평택군'으로 묶여 있었지만 1981년 평택군 송탄읍이 송탄시로, 1986년 평택군 평택읍이 평택시로 승격되면서 분리됐다가 1995년 다시 평택시·송탄시·평택군이 '평택시'로 통합됐다. 통합 당시 기준으로 면적 438㎢ 규모의 경기도에서 8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가 됐다.

3개 시·군 통합으로 성장여건이 마련됐고 다양한 사업들이 이루어지긴 했지만 주목받는 도시는 아니었다. 그러던 중 주한미군부대 재배치 논의가 평택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 도약을 준비했다.

하지만 평택지역에선 미군기지 확장을 반대하는 여론이 강했다. 시민들은 미군관련 사건사고와 군 비행기 소음, 고도제한 등으로 피해를 감수해야 했다. 또한 화력발전소, 항만 등 다수의 국가산업시설이 이미 지역에 자리잡고 있었던 터라 국가를 위한 또 하나의 희생을 강요받는 느낌이었다. 2004년 한미 양국은 협정에 합의하고 2006년부터 조성공사가 착공됐다.

다시 '기회의 땅'으로 주목받는 평택시

국가안보를 위해 희생하는 평택에 대해 보상안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지역은 물론, 정부와 국회에서도 제기됐다. 당시 평택의 지역구 국회의원이었던 필자가 주장했던 핵심은 국가정책은 수용하되 경제적 성장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시민들을 위한 지원사업이 체계화되고 연속성을 갖도록 법적 장치가 필요했다. 정부 ,경기도와 수많은 협의과정을 거쳤고 대통령과 여러 핵심 인사들을 만나며 노력한 결과 '주한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평택시 등의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미군이전평택지원법)이 제정됐다. 현재는 2022년까지였던 법률의 유효기간이 2026년까지 연장된 상황이다.

이를 통해 평택지역 개발사업 총 18조9796억원의 지원을 확보해 산업단지 430만평을 조성했으며 정부를 설득해 K-반도체의 핵심인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유치도 확정했다. 또 고덕국제신도시, 브레인시티, 평택호 횡단도로(국제대교), SRT고속철도, 산업철도(평택항~평택역) 등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면서 현재는 다른 위상을 지니고 있다.

2021년에는 56만명으로 인구가 크게 증가해 전국에서 15번째로 인구가 많은 대도시로 변모했다. 향후 다양한 도시개발 사업들로 정주환경이 나아지면서 100만 도시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더 살기 좋고 자부심 느끼는 도시

외부에서 평택을 바라보는 시각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바이든 현 대통령이 대한민국을 오갈 때 삼성전자 평택캠퍼스가 전세계에 소개돼 놀라움을 자아냈다. 평택지역에 대한 외국 기업의 관심이 높아지며 투자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 다양한 사업들이 모양새를 갖추고, 개발 파급효과가 발생하면서 평택은 더 큰 도시로 성장할 것이다. 살기 좋고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도시가 될 것을 확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