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한국당 후보 경선때부터 충돌

대구시장 선거에서는 대구공항 이전 문제가 최대 쟁점이다.

대구시와 정치권은 10여년째 도심에 자리잡은 공항문제 해결에 매달렸다. 그러나 주요 선거 때마다 공약으로 채택될 뿐 무산되거나 연기되기를 반복했다. 2007년과 2012년 이명박·박근혜 정부도 대선 공약으로 채택했으나 어물쩍 넘어가 아직 미완의 과제로 남아있다.

박근혜정부는 2016년초 영남권 공항이전 입지의 발표를 예정하고도 그 해 4월 총선을 앞두고 부산권의 표를 의식해 입지발표를 연기한 후 같은 해 6월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와 김해공항 확장이라는 엉뚱한 결론을 냈다. 당시 대구공항은 존치하는 것으로 결정됐으나 대구시민들이 반발하자 한달 뒤 박근혜 대통령은 군사공항과 대구국제공항을 통합이전하겠다고 발표했다.


국방부는 지난 3월 대구공항통합이전 후보지로 '군위군 우보면 일대'와 '의성군 비안면·군위군 소보면 일대'로 선정했다.

군공항과 민간공항을 경북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으로 정리된 대구공항문제는 6.13지방선거 바람이 불면서 다시 '갑론을박'의 대상이 됐다.

임대윤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권영진 자유한국당 후보는 공항공약을 두고 정면충돌하고 있다. 반면 김형기 바른미래당 후보는 5대 공약에는 뺐지만 영호남 항공수요를 수용하는 '남부권 신공항' 재추진 입장을 밝히고 있다.

임대윤 후보는 제1 공약으로 '대구공항 국제화, 군사공항 단독 이전'을 내걸었다. 임 후보는 대구공항이 위치한 동구에서 구청장을 두 번이나 역임했다. 그는 K2군공항을 이전해 군용기 소음을 해소하고 이전터에 중소형 항공기 제작관련 산업단지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대신 이용객이 급증하는 대구국제공항은 확장한다는 구상이다. 8000억원을 들여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이행하겠다며 구체적인 이행계획도 밝혔다.

임 후보는 이밖에 대구시 취수원이전, 대한민국 청년도시 조성, 대구형기초보장제도, 교육경쟁력 1위도시 등을 5대 공약에 포함시켰다.

권영진 후보도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및 '동촌스마트 시티' 건설을 제 1공약에 올렸다.

이미 이전부지로 선정된 경북 지역 두 곳 중 한 곳으로 군사공항과 민간공항을 동시에 이전해 도심속 군사공항으로 인한 소음피해와 재산권 침해를 해결하고 공항 후적지와 금호강, 동촌유원지를 연계한 1320만㎡를 친환경수변개발을 통해 부산의 센텀시티를 능가하는 '동촌스마트시티'를 건설한다는 복안이다. 또 통합신공항의 접근성 확충을 위해서도 공항철도와 광역도로 연결교통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권 후보는 이와 함께 미래형 자동차, 물, 의료, 로봇·사물인터넷, 에너지 5대 신성장산업을 육성해 대구를 4차산업 혁명선도도시로 조성하고 청년수당, 행복주택, 청년문화특화거리 등 일, 주거, 문화를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대구형 청년 보장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또 중학교 전면무상급식과 평생학습체계 구축을 통한 시민학습도시와 공동체복원 등도 5대공약으로 내놓았다.

김형기 후보는 두 후보와는 달리 '민생경제 살리기'를 첫 번째 공약으로 제시해 차별화했다. 대구의 총체적 경제 위기 극복와 민생 문제 해결이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김 후보는 임기 1년 이내에 '대구민생경제협의회'를 설립해 대책을 수립하고 대구를 자영업자, 중소기업, 창업 벤처 메카로 육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선택! 6.13 지방선거" 연재 보기]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

최세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