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까지 순익 8513억

고금리 대출, 불안요인

금감원, 위기대응 강조

저축은행들이 대출 확대로 이자이익 증가에 따른 고수익을 달성했지만 고금리 대출 중심의 구조는 위기에 취약하다.

3일 금융감독원이 밝힌 저축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올해 1~9월까지 저축은행은 851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냈다. 전년 동기(8218억원) 대비 259억원(3.6%) 증가했다. 대출확대 등으로 이자이익이 3조98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3640억원 증가한 수치다. 또 대손충당금 적립기준 강화로 많이 쌓아뒀던 충당금이 들어오면서 충당급전입액은 9796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2015억원(25.9%)이 늘었다. 저축은행의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정상대출에 1%, 요주의 10%, 고정(연체 3개월 이상) 20%로 강화됐다. 고위험 가계대출에 대해서는 지난해 6월말부터 추가충당금을 적립해야 한다.

예보, 저축은행 경영진 워크숍 | 예금보험공사(사장 위성백)는 지난달 2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저축은행 경영진 및 외부 전문가 등 100여명이 참석하는 제6회 저축은행 경영진 초청 워크숍 을 개최 했다. 워크숍은 '서민금융회사로서의 저축은행 신성장전략'을 주제로 진행됐다. 사진 예금보험공사 제공


당초 충당금 폭탄을 우려했던 저축은행들은 이자이익 확대로 실적에 문제가 없고 충당금전입액이 늘면서 당기순이익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경기침체와 금리인상에 따라 취약차주들의 부실이 가속화되면 또 다시 위기를 맞을 수 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2.3%)과 가계신용대출 연체율(6.5%)로 전년 동기대비 각각 0.5%p 상승했다.

금감원은 "대외적으로 최근 미국 연준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대내적으로 가계부채 증가, 경기회복 지연 등 불안요인이 잠재하고 있어 저축은행의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 이율이 20%가 넘는 고금리 대출은 높은 이자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지만 경기 침체기에는 불안 요인이다. 올해 5월말 기준 저축은행의 가계신용대출 잔액 평균금리는 22.4%다. 5월 신규 취급분 평균도 연 20.0%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고금리 대출을 받은 채무자는 85만1000명으로 전체 가계신용대출 109만1000명의 78.1%를 차지하고 있다. 고금리대출에 따른 저축은행의 수익성은 국내은행의 자기자본이익률(ROE) 9.6%보다 월등히 높은 12.5%다. 일부 대형 저축은행은 업계 평균의 2배에 달하는 실정이다. 고금리대출 채무자의 평균대출액은 800만원이며 이들이 부담하는 평균금리는 25.6%로 높다. 올해 2월 법정 최고금리가 연 24%로 낮아졌지만 그 이전에 받은 대출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이자이익이 늘면서 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4.54%로 전년말(14.31%) 대비 0.24%p 상승했다. 순이익이 증가했기 때문이지만 위험가중자산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말 49조8409억원이었던 위험가중자산은 올해 9월말 현재 55조2934억원으로 10.9% 늘었다. 주택담보대출 등 비교적 안전한 대출보다 위험성이 높은 신용대출이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감원이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위해 '잠재부실 증가에 대비한 내부유보 확대'를 언급한 것은 이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1인 대주주에게 고배당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금융당국이 직접적으로 배당을 축소하라는 말을 꺼내지는 못한다"며 "저축은행들이 내부 유보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금리를 이용하는 서민들을 위해서는 금리 상승기에 취약 채무자의 금융부담을 완화하고 저축은행이 이들의 재기를 지원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금감원은 대형 저축은행 14곳에 대해 합리적인 대출금리산정체계를 구축했는지 점검을 벌였으며 지난해 체결한 업무협약(MOU)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협약기간을 연장하고, 이후에도 협약이 지켜지지 않으면 제재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무분별한 고금리대출 취급 억제와 금리산정체계 합리화 등을 위해 대출금리산정체계 모범규준을 개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경기부진에 금리인상 겹치니…] 고금리 다중채무자 연체 '심상찮다'

이경기 기자 cellin@naeil.com

이경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