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숙사 등 격리공간 마련 나서 … 학교 밖 거주자 관리사각지대 우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 확산으로 대학가에도 비상이 걸렸다. 방학과 춘제를 맞아 고향에 갔던 중국출신 유학생들이 대거 돌아오기 때문이다. 교육당국과 각 대학은 이들의 자가격리 방침을 세우고 있지만 공간·예산 문제 등 해결해야 할 난제가 수두룩하다.

격리 중국 유학생들에게 도시락 배달│11일 광주 북구 전남대학교 생활관(기숙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기숙사 내에 격리 중인 중국 유학생들에게 직원들이 도시락을 전달하기 위해 방역복을 입고 내부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박철홍 기자


12일 전국 대학들에 따르면 방학 기간 동안 중국을 다녀온 유학생들을 별도 기숙사에 격리조치 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종 코로나 관련 학사관리 방안을 발표, 각 대학들에 4주 이내로 개강 시점을 연기하도록 권고했다. 유 부총리는 "학교 현실에 맞게 최장 4주까지는 개강을 연기하고 중국을 통해 입국하는 학생들의 경우 방역체계에 허점이 없도록 관리하려는 취지"라며 "중국을 거쳐 들어온 유학생 입국 단계, 입국 후 14일, 14일이 종료된 후 등 3단계로 나눠 정부와 대학이 단계별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학들은 기숙사 등 격리공간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기숙사에 입주한 경우는 신종 코로나 잠복기인 2주간 격리가 가능하지만 원룸 등 자취방에 머무르는 학생들을 관리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학교 밖에 머무르는 경우 2주간 집에 머물러 줄 것을 요청하겠지만 도시락을 배달해주거나 감시할 수 없는 형편이라 완전한 격리가 쉽지 않다는 것이 대학들 고민이다. 자칫 학교 모니터링 범위 바깥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

대학들은 자치단체에 공간확보에 대한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 하지만 뾰족한 대안이 없기는 자치단체도 마찬가지다.

일부 대학은 관리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국어 가능한 직원과 학생들을 총동원해 외부에 거주하는 학생들에게 매일 전화를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호남권 한 사립대 관계자는 "자치단체와도 협의하고 있지만 중국에서 돌아오는 유학생 전체를 수용할 만한 공간을 마련하지 못했다"면서 "가용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겠지만 전체 수용을 통한 관리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자칫 강제한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도 조심스럽다"고 덧붙였다.

수도권 소재 한 대학 관계자는 "학교 밖에서 생활하는 유학생이 입국한 이후부터 지자체, 지역 보건소와 협력해 1일 2회 유선 확인 등 입국 단계부터 철저히 모니터링할 계획"이라면서 "증상이 발현되면 보건당국에 신속히 연계하는 등 지역사회 감염 예방에도 만전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에 못지 않게 대학들도 중국출신 유학생 관리에 사활을 걸고 있다. 사립대학의 경우 '반값 등록금' 정책 장기화로 재정이 어려운 상황에서 유학생 유치로 그나마 재정을 확충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가 학내로 확산돼 유학생들이 대학 등록을 취소하거나 휴학을 선택한다면 가뜩이나 어려운 재정 상황이 최악으로 치달을 수 있다.

서울의 한 사립대 관계자는 "국내 대학에 유학 온 외국인 중 중국출신이 절반에 가깝다"면서 "당장 중국 유학생들이 대거 이번 학기에 등록하지 않고 휴학할 경우 대학은 재정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대학에서 유학 중인 중국인 학생은 7만1067명이다. 이 가운데 이미 학기 중에 있는 어학연수생(9326명)을 제외한 87%(6만1741명)의 상당수가 고국에 갔다가 개강을 앞두고 국내로 들어올 예정이다.

교육부도 가이드라인에 기숙사가 아닌 곳에 거주하는 유학생에 대한 내용을 담을지 여부를 고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교육부는 대학 내 방역비용과 유학생 격리 관련 비용을 예비비를 활용해 지원할 방침이다.

["'신종 코로나' 위기 확산" 연재기사]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장세풍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