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1실→다인 1실 변경

자가 또는 시설격리도입

코로나19사태가 현장중심의 감염병 관리지침을 새로 만들었다. 신종플루 메르스 사스 등 각종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가이드라인(지침)이 신천지 교인 중심으로 확산된 대구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대거 바뀌었다.

지난달 18일 대구에서 처음으로 코로나19 확진환자가 발생할 당시만 해도 대구 상황은 심각하지 않았다. 그러나 방심도 잠시 대구시에서는 신천지 대구교회를 진원지로 대구 코로나19사태는 순식간에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됐다. 대구시 자체로는 수습불능 상태였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지난달 25일 대구에 '지휘본부'인 중앙방역대책본부를 차리고 진두지휘하는 등 대구가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콘트롤 타워가 됐다. 대구가 뚫리면 전국으로 확산될 위기였다.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한 정부의 신속한 조치였다.

문제는 감염증 관리지침이 문제였다. 정부와 대구시가 수시로 충돌했다. 메르스나 사스사태 당시에 마련된 감염증 관리지침은 코로나19의 현장과 맞지 않았다. 하루에도 수백명씩 쏟아지는 확진환자 때문에 병실과 의료진은 물론 방역물품까지 부족해 환자들이 집에서 대기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일부는 병원 문턱도 못넘고 의사와 눈도 한번 마주쳐보지 못하고 사망하는 사례가 빈발했다.

그런데도 당초 관리지침은 양성환자는 음압병실에서만 치료가 가능한 것으로 규정돼 있었다. 무엇보다 병상부족문제가 급선무였다.

대구시는 질병관리본부를 설득해 지침개정을 건의했다. 1인 1실 입원치료 지침을 일반병실 다인실 이용으로 바꿨다. 또 병원격리규정도 바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자가격리와 시설격리도 가능하게 변경했다. 이에 따라 경증환자는 연수원 등을 활용한 생활치료센터에서 의료진의 관리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실제 대구시는 코로나19사태 발생 초기에 중증과 경증환자 모두를 병원입원으로 돌려 병실부족의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생활치료센터 도입으로 경증환자 대부분을 수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병원 병실은 중증환자치료에 집중적으로 배정할 수 있게 됐다.

대구시의 끈질긴 건의와 현장에서 중대본부장으로 상주한 정세균 총리의 신속한 판단 때문에 가능했다.

격리해제기준도 대구 코로나19 사례에 따라 대폭 강화됐다. 시는 코로나19 집단감염원인 신천지교 신자에 대해 전수 진단검사를 하도록 규정을 바꿔 지역사회 감염확산과 시민불안감을 해소했다. 기존 지침에 따르면 무증상 확진환자는 확진일로부터 7일 후 검체 검사결과 24시간 간격으로 2회 음성이면 격리 해제를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구시는 자가격리중인 경우에는 이같은 지침 적용을 배제하도록 했다. 무증상상태가 지속되면 확진일로부터 3주간 자가격리 또는 시설격리 후 자동적으로 격리 해제되는 지침은 자가격리 중인 경우에는 3주가 지나더라도 자동해제되지 않고 확진일로부터 20일이 되는 날 'PCR' 검사에서 음성이 나와야 격리해제되도록 했다.

이는 당시 격리해제후 확진판정을 받는 사례들이 자주 발생하는 대구의 특수상황을 정부 보건당국이 수용한 결과다.

또 신천지 신자 중 유증상자가 검체를 하지 않을 경우, 검체를 받을 때까지 자가격리기간을 계속 연장하도록 조치해 100% 검체검사를 완료해 지역사회의 감염확산을 예방하는 안전장치도 마련됐다.

병원에 입원중인 경증환자의 생활치료센터 강제 이송 규정도 도입됐다. 병실이 부족해 자가에서 대기중인 고위험군 환자를 조기에 입원시키기 위한 특단의 조치였다.

특히 세계 각국과 해외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고 있는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도 대구에 신속하게 도입했다. '드라이브 스루'는 의심환자에 대한 검체 진단검사의 속도를 높여 병실의 효율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의료진과 환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획기적인 선별진료소라는 평가를 받았다.

["'코로나19(COVID-19)' 위기 확산" 연재기사]

최세호 기자 seho@naeil.com

최세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