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교육감, 비수도권 '전면등교' 없던 일로

원격수업 격차 해소방안 제시 못해

코로나19 확진자 감염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이달 11일부터 18일까지 학생과 교직원 확진자는 96명(학생 83명, 교직원 1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5월부터 석달 동안 발생한 확진자 94명을 넘어선 숫자다.

5월 20일 등교수업 개시 후 전체 확진자의 51%에 해당된다. 서울이 40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가 37명, 부산이 12명 순이다. 사랑제일교회 예배에 참석한 고교 교장이 양성판정을 받았다. 이 교장과 회의를 하거나 접촉한 교사도 확진판정을 받았다. 방역당국은 무증상 감염 확진자가 더 늘어날 수 있다고 판단,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문제는 학교 밖 사회 방역에 구멍이 뚫리면서 학교 안전망을 위협하고 있다는 점이다. 19일 기준 등교수업을 못한 학교는 689개교에 달한다. 최근 8일 코로나 확진여부를 검사 중인 학생은 2500여명으로 조사됐다.

교육부와 시도교육감들은 19일 화상회의를 열고 비수도권 전면등교방침을 철회했다. 시도교육감들은 다음달 11일까지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해 학교 밀집도를 2/3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앞서, 광주시교육청과 전남도교육청은 학생 수가 60명 이하인 '소규모 학교'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전면 등교방침 입장을 고수했다. 전면등교 위험성보다 전면등교를 하지 못할 경우의 돌봄 및 학업 결손이 더 크다고 판단한 것. 또한, 원격수업에 따른 수업격차와 손실 등 학사운영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시도교육청들은 원격수업 격차해소에 나름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대안마련에 고심중이다.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원격수업=미래교육'으로 상정하고 다양한 정책을 쏟아냈다. 하지만 교육단체와 현장에서는 원격수업에 따른 수업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며 대안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땜질식 대안보다 근본적인 문제에 접근해 정책을 제시하라고 주문했다.

서울교육청의 경우 서울 소재 10개 사범대 재학생 170여 명을 중학교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학습 멘토링'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대학생 1명당 3명 이하 중학생을 맡아 학습지도를 하게 된다. 초등학생을 위해서는 퇴직 교원이나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학습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다.

대구시교육청도 방학을 중심으로 학습격차와 원격수업 결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학생 300여명을 투입해 운영 중이다. '대구발 온라인스쿨' 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하고 교사 포지션도 재구성했다. 수업지원을 위한 교사 동아리도 76개팀이 가동 중이고, 콘텐츠 제작 지원팀 60여개가 활동 중이다. 유은혜 부총리는 "전국적으로 학생과 교직원의 확진 확산 속도가 매우 빠른 상황"이라며 "비수도권 교육청도 전면 등교 방침을 철회하고 학교 밀집도를 2/3 이하로 관리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시도교육감들은 원격수업에 따른 수업격차 해소방안에 대해서는 대안을 마련하지 못했다. 교육단체와 현장교사들의 공통된 지적은 '성적 중간층'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 성적 상위그룹은 선행학습으로 원격수업 참여가 저조하고, 중간층은 이해부족으로 수업진도를 따라가지 못해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원격수업은 지역별, 학교별로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격수업에 따른 학습결손은 일반고보다 특성화고가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실습을 하지 못한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했다.

경기도 성남시 한 고교 교장은 "특성화고 학생들은 실습을 해야 취업을 할 수 있다"며 "원격수업도 쌍방향 수업이 안되다 보니 출석체크만 하고 수업내용에 충실할 수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코로나19(COVID-19)" 연재기사]

전호성 기자 hsjeon@naeil.com

전호성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