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국민운동' 전개

박인호, 해운 항만 등 해양 분야의 일을 주요 정책과제로 부각하고 일을 성사시키려는 사람들이 그를 찾는다. 지난 7월 24일 부산에서 닻을 올린 해양과 해운으로 융성하는 나라만들기 정책국민운동도 그렇게 시작됐다.

국민운동 공동발기인들은 2022년 대통령선거 시기를 활용해 '해양으로 융성하는 나라만들기'를 사회적 어젠다로 제기해 공감대를 확산하고 주요 정당과 후보들이 해양입국을 위한 정책들을 채택하도록 분위기를 만들어갈 계획이다.

일본 교토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고 동남발전연구원(현 부산발전연구원) 연구위원으로 각종 정책연구를 하던 그는 1995년 '부산항을사랑하는시민모임'을 만든 이후 부산항만공사설립시민운동, 해양수산부 폐지반대 및 부활운동, 선박금융공사(현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운동 등을 펼쳐 성과를 냈다.

그는 2001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부산항시민대학에서 2300여명의 졸업생을 배출하며 해운항만 등 해양의 중요성을 각인한 시민네트워크를 형성하면서 해양관련 오피니언리더로서 위상을 갖췄다. 25년간 매년 부산항개항기념식을 열어 부산항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시민들과 공감대를 마련하며 해양관련 시민단체의 신뢰도도 높였다.

◆해양으로 융성한 나라 만들어야 = 지난달 25일 부산항을사랑하는시민모임 사무실에서 최명범 한국해양재단 사무총장과 함께 진행한 내일신문 인터뷰에서 박 대표는 "해양수산부가 2013년 부활했지만 해양이 부각되는 시대흐름에 비춰 역할이 적어 아쉽다. 더 강해져야 한다"며 "중국이 해양굴기를 선언하며 각종 해양정책을 전개하고, 프랑스가 최근 해양부를 만들어 해양정책을 강화하는 흐름에 비춰도 한국의 해양정책은 많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해운과 조선 정책은 해수부와 산업통상자원부로 분리돼 있고, 물류정책은 해수부와 국토교통부로 나뉘어 있어 정책의 시너지를 내기 어려운 구조가 변하지 않은 점을 우선 꼽았다.

그는 또 "기후위기라 불릴 정도의 기후변화의 시기에 해양에 바탕을 둔 해양·대기관측과 대책들이 중요한데 해수부의 역할이 적다"며 "해수부를 확장해 미국의 해양대기청(NOAA)같은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해양으로 융성하는 나라만들기 국민운동'은 이런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노력으로 출발했다. 발족식은 박 대표가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부산항발전협의회 주관으로 해양산업총연합회와 선주협회가 공동주최했다. 박 대표를 포함 강무현 해양산업총연합회장, 김영무 선주협회 상근 부회장, 도덕희 한국해양대 총장, 박성현 목포해양대 총장, 이승규 부산항발전협의회 공동대표 등 해양관련 산업 시민단체 학계인사 16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해양수산조선물류 관련 지식인 1000인회의 창립 △동해 남해 서해 등 한국 최초의 바다선거구 획정 제안 △우리물건 우리배 싣기 국민운동 △해운+조선정책조직 해양수산부로 일원화운동 △한국해양진흥공사 금융역량강화운동 △해양플라스틱 제로화운동 △제2한진해운사태 경고 캠페인 △차기 해양수산대통령만들기 국민운동 △해양수산전문가 국회보내기운동 △한국최초의 국제무역인 장보고 다시보기운동 등을 전개하기로 했다.

박 대표는 "10가지 정책과제들은 이전부터 하던 것도 있고 새롭게 제안하는 것도 있는데 국민들이 좀 더 쉽게 공감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정부가 해운재건정책을 시행하면서 '국적선사적취율 제고'라는 말을 사용하는데 무슨 말인지 알기 어려워 '우리물건 우리배 싣기'라고 쉽게 표현한 것도 그런 이유"라고 말했다.

10대 정책과제 중에는 해수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각각 담당하고 있는 해운과 조선 정책을 해수부로 일원화하는 운동을 시급한 과제로 분류했다. 또, 해양진흥공사의 금융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자본금 규모를 10조원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목표를 숫자로 제시하기도 했다. 현재 3조원 규모의 해진공 자본금으로는 해운산업이 요구하는 자금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정부와 국회에서도 추가 출자를 검토하고 있다.

박 대표는 "많은 사람들이 우리의 미래에서 해양이 중요하다고 말은 하지만 여전히 추상적 수준이고 사회적 관심사나 정책에서 해양은 소외돼 있는 게 현실"이라며 "국민의 관심과 지지를 끌어올려 해양강국으로 발전하기 위한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양세력 연계 = 그는 흩어진 해양세력을 연결하기 위한 노력에 집중할 생각이다. 동해 남해 서해 등 바다지역구를 제안한 것도 해양세력을 정치적으로 결집하기 위한 방안이다. 농업에 비해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수가 적고 일터도 바다로 흩어져 있어 정치적 의사표현을 제대로 못 하고 있다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서다. 해양 수산 조선 물류 등 해양산업과 연관된 지식인 '1000인 회의'를 만드는 것도 구슬을 꿰기 위한 방안이다.

박 대표는 "해양세력이 지역별로 갈등하지 않고 해양도시네트워크 등 하나로 힘을 모으기 위해서는 부산이 인천 여수 동해 등 다른 해양도시들을 도와줘야 한다"며 "어렵지만 부산시민들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보고 후예를 찾아서" 연재기사]

정연근 기자 ygjung@naeil.com

정연근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