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2차 봉쇄 결정

벨기에 프랑스 한계

의료대란 우려 점증

잠시 진정되는 듯하다가 다시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코로나19 사태로 유럽 각국이 속속 봉쇄조치 재가동 계획을 내놓고 있다.

특히 프랑스, 독일에 이어 영국까지 2차 봉쇄에 돌입하면서 입원환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의료대란이 임박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현지 언론들에 따르면 봉쇄 조치에 대비하려는 시민들이 소비재 구매에 대거 나서면서 슈퍼마켓 등에는 긴 줄이 생겨났고 일부 품목은 벌써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유럽의 상황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한스 클루게 유럽국장은 지난달 29일 유럽 보건 장관들과의 긴급회의에서 최근 1주간 유럽의 신규확진자가 약 150만명 늘어 팬데믹에 들어선 이후 최대 증가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제2 봉쇄조치 도입 기자회견 지켜보는 영국인들 | 영국에서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100만명을 넘어선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런던의 한 펍에서 시민들이 TV를 통해 보리스 존슨 총리의 제2 봉쇄조치 도입 기자회견을 지켜보고 있다. 런던 로이터=연합뉴스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는 1주일 만에 33% 이상 늘었다. 유럽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집계에 따르면 유럽 내 병원의 집중치료실 점유율은 17일 만에 2배로 치솟았다.

클루게 국장은 "유럽은 다시 이번 팬데믹의 진원지가 됐다"고 말했다.

AFP통신이 52개 유럽국가 중 35개국의 자료를 집계한 결과 코로나19로 입원해 치료를 받는 환자는 13만5000명에 달한다. 불과 1주일 전에만 해도 이 숫자는 10만명 아래였다.

14개국에서 코로나19 관련 입원환자가 역대 최대기록을 경신했다.

가장 심각한 곳은 체코다. 인구 10만명당 코로나19 입원환자가 62명에 달한다. 루마니아는 10만명당 57명, 벨기에는 51명, 폴란드는 39명으로 뒤를 이었다.

워싱턴포스트는 유럽이 팬데믹의 2차 확산에 따른 의료대란에 직면했다고 지적했다.

집중치료실 수용치는 빠르게 한계점에 다다르고 있다.

한계점에 다다르는 시점은 독일은 12월, 프랑스와 스위스는 11월 중순, 벨기에는 이번 주말이 될 수 있다고 WP는 전망했다.

이에 따라 유럽 각국 정부는 그동안 최대한 자제해 오던 2차 봉쇄 카드를 속속 꺼내들었다.

영국은 누적 확진자가 100만명을 돌파하면서 잉글랜드 전역에 4주간의 봉쇄조치를 재도입하기로 했다. 지난 3월 이후 두 번째 봉쇄 조치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열고 봉쇄조치를 확정해 발표했다. 존슨 총리는 이날 예정에 없던 내각회의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논의한 뒤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에 따라 오는 11월 5일부터 12월 2일까지 잉글랜드 전역의 비필수 업종 가게, 펍과 식당 등의 영업이 중단된다. 다만 포장 및 배달은 가능하다. 학교와 대학 등은 문을 열며 다른 가구 구성원 중 한 명과 만나는 것도 허용된다.

2차 봉쇄를 앞두고 슈퍼마켓 앞은 물건을 사려는 손님들로 장사진을 이뤘고, 화장지 등 일부 품목은 이미 동났다고 일간 텔레그래프가 전했다.

또 일부 시민들은 1차 봉쇄 때 장기간 머리단장을 할 수 없었던 기억을 되살려 이발소나 미용실에 예약을 잡는가 하면, 배달 음식을 받을 수 있도록 대문에 투입구를 만들기 위해 서두르는 모습이다. 12월 2일 이후에는 봉쇄조치가 완화돼 현재와 같이 지역별로 3단계 대응 시스템이 적용된다.

존슨 총리는 "올해 크리스마스는 아마도 매우 다를 것"이라면서 "지금 강력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크리스마스에) 가족들이 함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나의 희망이자 믿음"이라고 말했다.

앞서 프랑스는 지난달 30일 자정부터 한 달간 전국에 봉쇄령을 내려 식당과 술집 등 비필수 사업장을 폐쇄하기로 했다.

독일 역시 음식점, 주점 등 요식업과 영화관, 공연장 등 여가시설의 문을 닫는 부분 봉쇄에 돌입했다.

벨기에와 오스트리아도 부분 봉쇄조치를 도입했다.

하루 신규 확진자가 3만명을 넘어서 역대 최다기록을 경신한 이탈리아는 지난달 26일부터 음식점·주점의 영업시간을 저녁 6시까지로 제한하고 영화관·헬스클럽·극장 등을 폐쇄하는 '준 봉쇄' 수준의 고강도 제한 조처를 시행 중이다.

["코로나19(COVID-19)" 연재기사]

정재철 기자 · 연합뉴스 종합

정재철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