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리기시장 확대, 해묵은 문제부터 해결해야

"유기성폐자원인 음식물쓰레기가 들어오면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바이오가스 등으로 활용합니다. 다른 시설들과 가장 큰 차이가 있다면 개별처리 방식이 아닌 통합에너지화 시스템을 도입했다는 점이죠. 음식물쓰레기 뿐만 아니라 가축분뇨 하수농축슬러지 분뇨 등 4가지를 함께 처리할 수 있어요."

18일 충남 서산시 양대11로에 있는 서산시 자원순환형 바이오가스화 시설 관계자의 말이다. 국비와 지방비 등 470억원이 투입된 이 시설은 지난해 8월 문을 열었다. 이곳의 바이오가스화 시설 용량은 하루 320톤이다. 하루 평균 바이오가스 9200~9300N㎥(노르말 루베, 0℃ 1기압에서의 체적)을 생산한다. 이는 2500~3000가구가 사용하는 도시가스 양과 맞먹는 규모다.

음식물찌꺼기는 잘만 활용하면 자원이 된다. 왼쪽 사진은 서산시 자원순환형 바이오가스화 시설에 음식물쓰레기를 반입하는 장면. 이후 전처리과정 혐기성소화 탈황 등의 과정을 거쳐 바이오가스로 만들어진다. 오른쪽 사진 속 돔 부분에서 바이오가스가 생산되고 있다.


바이오가스란 음식물쓰레기 등을 분해(혐기성소화)할 때 생산되는 수소나 메탄 등을 말한다. 이 메탄가스 등을 에너지화해 각종 발전연료 등으로 사용한다.

◆음식물쓰레기 처리는 물론 비용 절감도 = 이 시설의 발주기관인 한국환경공단의 이준상 환경에너지시설처 차장은 "처음에는 한 곳에서 4가지를 처리하는 게 불가능하다는 반응이 많았다"며 "하지만 시설투자비 160억원 절감은 물론 연간 연료비 10억5000만원을 덜 쓰는 등 이점이 더 많다"고 말했다.

서산시 자원순환형 바이오가스화 시설에서 생산하는 바이오가스는 찌꺼기 건조시설 보일러 등을 가동할 때 사용한다. 화석연료의 일종인 액화석유가스(LPG)를 사용했다면 더 많은 운영비가 들어가는 상황이다. 다행히 안정적인 운영으로 자체적으로 소비하는 것은 물론 인근 민간 가스발전시설에 해당 바이오가스를 공급할 정도가 됐다.

김완수 한국음식물자원화협회 회장은 "음식물찌꺼기는 쓰레기가 아니라 자원"이라며 "바이오가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니 정부는 그냥 버려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음식물쓰레기는 자동차 연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음식물쓰레기를 통해 만든 바이오가스에서 수소를 뽑아내 고순도로 정제한 뒤 각종 수소에너지로 쓸 수 있다.

이 차장은 "천연가스를 고온·고압 수증기와 반응시키는 개질수소 부분에서는 음식물쓰레기에서 추출한 수소가 더 저렴한 측면이 있다"며 "폐기물발생지처리 원칙에 따라 해당 지역에서 나오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때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활용하면 수소 원료 공급 단가도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도심에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설치하면 인근에서 나오는 음식물쓰레기도 처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소를 생성하게 되면 굳이 먼 거리에서 수소에너지원을 가져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유통 및 운송비 절감 효과가 있어 경제성이 높아진다는 설명이다.

◆"정책 따라 시장 움직여, 추가 피해없게 명확한 신호를" = 이처럼 음식물쓰레기는 잘만 활용하면 버려진 뒤에도 쓰임새가 많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갈아서 하수시설로 떠내려보내는 것이 현실이다.

주방용오물분쇄기는 본디 판매 금지였으나 2012년 이명박정부 시절 제한적(고형물 무게 기준으로 80% 이상 회수 혹은 음식물쓰레기의 20% 미만 하수도 배출 제품)으로 허용해줬다. 문제는 불법 개조해 음식물쓰레기의 100%를 하수도로 배출하는 경우가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개인 가정에 설치된 제품이 불법인지 여부를 단속하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아예 불법인지 모르고 사용하는 소비자들도 있다.

주방용오물분쇄기 업체는 약 39곳(2020년 12월 기준)이다. 이 중 32곳의 연매출액은 약 957억원이다. 대부분 수입제품을 조립(3~4개사만 자체제조)해서 판매 중이다. 최근에는 공동주택 단위 오물분쇄기 설치를 위한 임시허가(규제 샌드박스 적용) 신청 추진, 대형 건설사의 시장진출 검토 등 보급 확산 움직임이 일고 있다. 불법제품으로 인한 하수처리장 오염부하 가중 등 여러 문제가 생기고 있는 상황에서 아무 대책 없이 시장을 방치하면 안된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김미화 자원순환사회연대 이사장은 "시장은 당연히 정부 정책에 따라 움직일 수밖에 없다"며 "주방용오물분쇄기 문제를 개인의 책임으로 미룰 게 아니라 하루 빨리 정부가 해결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방용오물분쇄기 논란 재점화" 연재기사]

김아영 기자 aykim@naeil.com

김아영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