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기업 급증’ 위험 경고음 커져

코로나19 이후 구조조정 급증 예상

채권은행 평가는 부실징후 반영 약해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급증하면서 코로나19 이후 정부의 금융지원 중단과 금리상승이 맞물리면 버티지 못하는 기업이 속출할 것이라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역설적으로 기업의 구조조정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년간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 / 이자비용)이 1미만인 취약기업의 비중은 39.7% (2520개 중 1001개)로 전년 대비 4.6%p 상승했다. 특히 중소기업은 절반이 넘는 50.9%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의 여파가 중소기업들에게 더 컸다는 반증이다.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기업은 재무구조가 부실한 한계기업으로 분류된다. 이같은 기준을 적용하면 2019년 한계기업 비중은 14.8%(3475개)로 2018년 14.2% (3236개) 대비 0.6%p 증가했다. 지난해 통계는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이자보상배율 1미만 기업이 대폭 증가했기 때문에 한계기업 비중 역시 높아졌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전망치를 통해 한계기업 비중이 21.4%로 전년 대비 6.6%p 증가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금융감독원이 내부용으로 자체 조사한 한계기업 증가 추세도 한국은행 조사와 비슷한 상황이다. 한국은행은 기업이 창업한 지 10년 이후부터 이자보상배율을 조사해 한계기업을 분류하는 반면 금감원은 창업 이후 시점을 달리 적용해 조사하는 등 다소 다른 잣대를 적용하고 있다.

산업연구원이 이달 7일 발표한 ‘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을 위한 한계기업 정상화 과제와 정책시사점’ 보고서 역시 같은 진단을 내렸다. 제조업 분야로 국한해 분석한 결과 2011년 약 5.0%였던 한계기업 비중은 2019년 약 11.9% 수준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신규 진입한 이자보상배율 1미만인 제조업 상장기업은 211개로 직전 5년간 연평균 약 155개 대비 36.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난해 금융당국과 채권은행이 부실징후 기업을 가려내는 신용위험평가에서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된 기업수는 오히려 줄었다. 지난해 157개사가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는데 전년도 210개사 보다 감소했다. 신용위험평가시 코로나19로 인한 일시적 영향을 배제하고 평가가 이뤄졌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채권은행들과 함께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채권은행의 평가가 기업의 위험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신용위험평가 방식을 바꿔서 기업의 재무위험뿐만 아니라 사업위험에도 초점을 맞추기로 했으며 부실징후 기업을 최대한 선별한다는 방침이다.

["코로나19 이후 기업구조조정 대비하자" 연재기사]

이경기 기자 cellin@naeil.com

이경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