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차 등 모빌리티(이동수단) 기술 발전으로 자동차 제조산업과 보험산업간에도 '빅 블러(Big blur)'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15일 보험연구원과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이 개최한 '모빌리티 산업의 변화와 보험' 포럼에서 박소정 서울대 경영대 교수는 최근 산업 전반에 걸쳐 일어나고 있는 빅 블러 현상이 모빌리티 보험의 가치사슬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차량 제조사들이 업무대행대리점(MGA)의 형태로 보험가치사슬 속으로 진입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빅 블러 현상이란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기존에 존재하던 것들의 경계가 뒤섞이는 것을 말한다.

박 교수는 휴대폰분실파손보험이나 택배반송보험을 예로 들면서 다양한 영역에서 제품의 생산자나 서비스 제공자들이 자신의 상품과 서비스가 결합된 보험(Embedded Insurance)을 출시하면서 보험 판매채널 역할을 병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조사들은 보험사보다 고객과의 접점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에 보험 판매에서도 유리한 측면이 있다.

차량 제조업자들 역시 차량 공유 플랫폼, 충전 네트워크, 차량 리스사 등 차량 제조를 넘어선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자의 영역으로 역할을 확대 중이다. 박 교수는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가 자동차보험을 한다고 하는데 그 이유를 보면 고객과 영원히 연결되고 싶다는 것"이라면서 "고객의 교통사고 정보까지 분석하게 되고 테슬라가 그 사고 책임을 일정부분 져야 한다면, 그런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설계단계에서부터 어떻게 비용을 줄일지 고민하게 되고 생산에까지 그 정보를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슬라, 포드, 다임러, 도요타 등 글로벌 차량 제조사들은 MGA를 설립해 보험가치사슬에 진입하고 있다. MGA는 위험 인수 심사(언더라이팅) 기능을 가지고 있는 보험판매대리점을 말한다.

박 교수는 "고객과의 연결을 위해자동차 제조사들도 보험에 관심을 보이게 됐고 고객과의 연결 접점에서 다양한 모델들이 나오고 있다"면서 "자본 규제 등 보험업이 까다롭기 때문에 제조업자가 완전한 보험업자가 되기보다는 원수보험사와 파트너십을 맺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박소원 기자 hopepark@naeil.com

박소원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