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제도 영향 분석도

"[글로벌 소비시장 '이상 징후'] 미·중 '쇼핑 대목'이 사라졌다" 에서 이어짐

24일 중국 경제일간지 21세기경제보도는 상하이금융·법률연구원 녜르밍·가오리민 연구원의 칼럼을 통해 '임금 증가율 둔화'와 '소비패턴 변화'가 사람들의 소비를 줄이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칼럼은 "징동 빅데이터를 보면 징동의 매출 증가 속도를 보면 도시가 클수록 성장률이 낮은 데 4선 도시 이하에서의 증가율은 50%를 넘고 1선 도시는 30%를 넘지 않았다"면서 "대도시의 청년 노동자들의 설명절 귀성이 대도시에서의 소비를 줄이고 고향에서의 소비를 이끌고 있다"고 분석했다. 물론 대도시의 전자상거래 채널은 발전이 많이 돼 성장잠재력이 유한한 반면 전자상거래 채널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은 중소도시에서는 소비 증가율이 높다는 분석도 덧붙였다.

이와 함께 중국 이커머스 기업인 징동의 보고서를 인용해 주민등록제도와 도시규모 등급 관리 정책이 중국 소비 패턴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칼럼에 따르면 "2013년 말부터 2014년 시행된 주민등록제도와 신형도시화 전략은 대도시의 규모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무 교육입학 등의 정책으로 외지인의 대도시 장기 거주의 문턱을 높였다"고 소개했다.

2010년 이래로 중국의 인구이동 규모 추세는 안정화됐고 2016년 2.45억명의 인구이동이 있었다. 6명 중 1명은 고향을 떠나왔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동인구의 이주는 가족 전체 이주 형태가 아니다. 배우자와 같이 이주하는 비중이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미성년 자녀와 퇴직이 가까운 부모가 함께 이주하지 않는 비중은 여전히 높다. 자녀를 두고 오는 이유는 의무교육입학 문턱 제한 때문이고 부모를 함께 모시지 못하는 것은 의료보험지역 전환 등의 제약 때문이다.

가족을 고향에 두고 온 결과로 대도시로 나온 부부의 소비는 약간은 비정상적이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2016년 이동인구의 월평균 가계 소득은 6831위안이었고 월 지출은 3425위안으로 지출 비중이 총소득의 50%를 차지했다.

2015년 이동 인구의 월지출은 3201위안이었는데 이중 식품 지출은 1335위안, 주거비는 721위안, 기타 지출 1145위안이었다. 고향을 떠나온 이들의 이 3가지 지출은 전국 중소도시 가정의 월평균에 못 미친다. 특히 기타소비 지출은 전국 중소도시 가정의 43.0%에 불과했다. 기타소비 지출은 주로 의복, 생활용품, 가정용 설비나 내구성 제품이나 문화오락, 의료보건 등에 쓰이는 지출이다.

칼럼은 "도시로 나온 부부가 이렇게 아낀 돈은 결국에는 고향에서 사용된다"면서 "춘제 기간 고향(중소도시)에서의 소비는 주민등록제도 하의 '비정상적' 이주로 인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박소원 기자 hopepark@naeil.com

박소원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