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부장 중소기업 조사

"대응책은 상생협력"

수요기업과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에 참여한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10곳 중 4곳은 개발 후 수요기업의 지속적인 구매로 연결되지 않았다.

중소기업들은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국산화를 위해 필요한 정부정책으로 '장기적 투자를 통한 원천기술 확보'를 1순위로 꼽았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이러한 내용이 담긴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 기술 구현수준 및 기술개발 관련 애로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조사는 8월 13일부터 1주일간 1002개의 소재·부품 및 생산설비 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술개발을 진행 중인 제품의 경쟁국가(기업)는 미국(131개사) 일본(116개사) 독일(79개사) 국내기업(51개사) 중국(31개사)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납품(판매)처로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73.7%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국내 대기업'(41.1%) 수출(19.2%) 정부·지자체·공공기관(7.9%)순이었다.

현재 기술개발중인 제품이 있는 경우는 50.7%였다. 품목별로는 '장비'를 가장 많이(70.1%) 개발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완료 후 성능시험이나 판로개척을 추진 중인 부품 중소기업은 31.0%였다.

제품개발 완료 및 상용화에 소요되는 시간으로는 '6개월~1년 이내'가 34.1%로 가장 높았다. '5년 이상'은 1.8%로 가장 낮았다. 이중 1년 이상이 39.0%로 소부장 중소기업 10곳 중 4곳 가량이 제품개발과 상용화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기업의 납품(판매)처 발굴 시 애로사항으로는 제품성능 검증을 위한 신뢰성 확보가 23.4%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수요처가 기존 거래처 변경을 기피(21.9%), 수요기업 및 담당자에 대한 설명기회가 없음(16.1%) 순이었다.

신뢰성(성능+내구성) 확보는 중소기업의 경우 시제품 제작 완료 후 제품의 품질안정성 확보 및 사업화 단계에서 실제 생산환경과 유사한 테스트베드 적용 등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구매를 조건으로 신제품개발 후 수요기업 지속적인 구매로 연결된 경우는 58.2%로 조사됐다.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에 참여한 중소기업 10곳 중 4곳 가량(41.8%)은 수요기업의 지속적 구매로 이어지지 않았던 셈이다.

품목별로는 '장비' 중소기업이 구매로 연결되지 못했다는 응답(47.1%)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일본 수출규제 강화 관련 정책적 대응방향으로는 상생협력 기술개발확대 등을 통한 경쟁력강화(44.1%)를 가장 높게 꼽았다. 국내외 제품수급정보·거래처 발굴 및 매칭 지원(25.1%) 냉정한 외교적 해법 요청(13.4%) 등 순으로 조사됐다.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국산화를 위해 필요한 정부정책으로는 장기적 투자를 통한 원천기술 확보(33.2%)가 가장 높았다. 해외 국내 대체품목 기술거래 등 정보제공(20.2%), 기술수요·공급업체를 연계한 상생협력 기술개발 강화(17.5%) 순이었다.

선진국과의 기술과 가격 격차는 여전했다.

경쟁국가나 경쟁기업의 기술수준을 100으로 했을 때 응답기업이 자체적으로 판단한 기술 구현 수준은 평균 89.0%로 답변했다. 해외 국가와 비교하면 국내 중소기업 기술력 수준은 중국(115.0%)보다는 우위에 있지만 미국(85.3%) 일본(89.3%) 독일(80.5%) 대만(93.3%) 보다 낮다고 판단했다.

경쟁국가나 경쟁기업의 가격수준을 100으로 했을 때 국내 중소기업제품 가격은 평균 93.9%로 응답했다. 이는 일본의 76.6% 수준에 불과했다. 중국 107.4%보다는 높았다.

[관련기사]
[소재부품기술독립 이번에 제대로│③ 디스플레이] 가능성 있는 분야 집중해야 경쟁력 있다
품질 좌우하는 증착장비 일본비중 70%

[소재부품 기술독립 이번엔 제대로] 연재기사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김형수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