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녹조종합대책 발표

친수공간 관리대책 빠졌다

"올해는 야적퇴비 제거 등 가축분뇨 관리를 중심으로 비상대책을 추진해 단기간 내 효과적으로 녹조를 저감할 것이다. 근본적인 녹조 저감을 위한 중장기대책도 동시에 추진해 안전한 물환경을 조성하겠다."

류연기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의 말이다. 환경부는 1일 녹조 예방과 저감을 위한 종합관리대책을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녹조가 발생한 낙동강 구미-왜관 구간. 이런 물에 유람선을 띄우고 수상스키를 타는 사람들이 있다. 녹조발생시 '친수구역 접근금지' 등 비상조치가 시급한 이유다. 사진 대구환경운동연합 제공


환경부는 '사전예방, 사후대응, 관리체계' 3대 분야로 나눠 '비상대책'과 '중장기대책'을 동시에 추진하겠다고 했다.

환경부는 구체적으로 △사전예방 : 야적퇴비 관리 △중장기 대책 : 가축분뇨 처리방법 다양화 및 처리시설 확충 △사후대응 : 녹조제거시설 집중투입과 취·정수장 관리 강화 △관리체계 중장기대책 : 국가녹조대응센터 건립 등을 밝혔다.

이번 환경부 녹조 종합대책에는 △먹는 물 기준 강화 △녹조 분석방법 개선 등 전문 환경단체가 개선을 촉구한 내용이 일부 포함됐다. 그러나 미국 등 선진국 녹조 관리와 비교할 때 부실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녹조 독소는 '먹는 물'(수돗물) 감시 기준이 아니라 '수질'(강물) 기준에 포함해야 하고 녹조독소 확산에 따른 국민건강 영향 조사도 확대해야 하는데 이번 대책에서 빠졌다는 것이다.

또 녹조 발생시 친수공간 관리도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매년 녹조가 창궐하는 낙동강에 유람선을 운행하는가 하면 녹조로 범벅이 된 강에서 수상스키를 타고 아이들과 함께 카약을 타는 이들까지 있기 때문이다.

8개 보로 가로막힌 낙동강은 상주보에서 함안보까지는 물론 그 하류에도 낙동강하구둑이 있어 거의 호수 상태다. 8개 보 설치 후 낙동강물의 흐름은 10배 이상 느려졌다.

8개 보의 체류시간을 보면 △상주보 17.8배(보 설치 전 0.4일 → 설치 후 7.1일) △낙단보 14.3배(0.6일 → 8.6일) △구미보 17.3배(0.8일 → 13.8일) △칠곡보 19.2배(1.1일 → 21.1일) △강정보 19.1배(1.1일 → 21일) △달성보 10.3배(0.9일 → 9.3일) △합천보 4.7배(2.2일 → 10.3일) △함안보 5.2배(1.7일 → 8.9일) 등이다.

사실상 호수가 된 상황이기 때문에 BOD보다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이 더 중요하다. 환경부가 수십년 동안 측정한 COD 데이터를 보면 4대강사업 이후 악화 추세가 아주 뚜렷하다. 4대강 이후 매년 녹조대란이 일어나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관련기사]
[환경의날 - 낙동강수질] "4대강으로 수질개선?" 환경부 수질데이터를 보라
낙동강 주요지점 수질 계속 악화 추세
[16개 보 가운데 11곳 수질 좋아져?] 3가지 데이터만 분석 … COD·TOC 등 '무시'

남준기 기자 namu@naeil.com

남준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