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탄핵촛불 광화문집회 참여자 패널 10명 중 7명은 '촛불집회의 목적이 적폐청산'이라고 보고 있었다. 하지만 2명은 '국민통합'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폐청산'에 대한 다수의 공감대는 촛불항쟁 3년이 지난 지금 서울 서초동 집회로 나타나고 있다. '검찰' 자체를 '적폐의 대상'으로 보고 개혁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국민통합'을 목적이라고 보고 있는 패널들은 '적폐청산 과정의 편가르기'를 우려하고 있다.


이것은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평가에서도 확인된다. 적폐청산을 중시하는 패널들의 '문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는 긍정평가는 71.0%였다. 국민통합을 중시하는 패널들의 긍정평가는 41.5%였다. 전자의 부정평가는 15.9%, 후자가 31.7%로 약 2배의 차이를 보인다.

흥미로운 것은 국정평가 중 '잘 모르겠다'의 응답비율이다. 적폐청산을 중시하는 패널들의 '잘 모르겠다' 응답은 13.1%였다. 이에 비해 국민통합을 중시하는 패널들의 '잘 모르겠다' 비율은 2배가 넘는 26.8%였다.

이처럼 국정운영에 대한 부정평가와 평가유보에서 적폐청산 중시 패널과 국민통합 중시 패널 사이에 2배 차이가 난다는 것은 촛불을 어떻게 보느냐의 차이가 국정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들의 인식 차이는 문재인정부가 지금까지 추진해온 '적폐청산'에 대한 평가에서도 드러난다. 적폐청산 중시 패널의 63.8%가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 반면 국민통합 중시 패널의 긍정평가는 52.4%였다.

이현우 서강대 정치학과 교수는 "두 집단의 차이는 적폐청산 자체가 목적인가, 더 나아가 국민통합을 이뤄야 목표가 달성된다고 보는가 하는 인식 차이로 해석된다"고 밝혔다.


[어떻게 조사했나]
내일신문과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는 2016년 11월 26일 광화문 촛불집회 현장에서 참여자 직접조사(2059명)를 실시했다. 응답자들 중 차후 조사에 재조사에 응답할 의사가 있는 960명의 전화번호를 확보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이번 조사를 실시했다.

광화문 촛불집회 조사 1년 후인 2017년 10월말 참여자들과 접촉하여 545명으로부터 응답을 받았으며, 2019년 9월 24일부터 10월 4일 사이에 405명으로부터 설문응답을 확보했다. 2017년 1차 추적조사와 2019년 2차 추적조사 모두 응답한 인원은 280명이다. 개인변화 분석부분은 이들의 변화를 추적한 것이다.

추적조사는 모집단에 대표성을 보장할 수 없다. 본 자료 역시 촛불집회 참여자들을 모집단으로 하는 대표성 있는 표본이라 할 수 없다. 다만 추적조사는 표본의 변동을 개별단위에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갖는다.

["내일신문 창간26주년 기획 | 촛불 3년, 한국사회를 어떻게 바꿨나" 관련기사]
촛불패널 ‘구태 정치권’에 불만 크다
"적폐청산이 촛불의 목적" 85.4%
촛불패널, '촛불 자부심' 강하다
국정평가 유보층 41.5%, 2년 후 부정평가로 이동
[기고] 그때의 촛불과 지금의 촛불
무능 봐줘도 정권비리·비민주 '용납 못해'
'경제양극화 해소 성과 못내' 58%
[촛불시민이 꼽은 '기억에 남는 명장면'은] 30대 "온갖 깃발 총출동, 재밌었다"···50대 "바뀐 시위문화, 감동 받았다"

[내일신문 창간26주년 기획] 촛불 3년, 한국사회를 어떻게 바꿨나 연재기사

남봉우 기자 bawoo@naeil.com

남봉우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