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후 최대규모 전국적 항일운동 … 의미 점차 퇴색, 재조명·정신계승 이뤄져야

광주학생독립운동이 1919년 3.1운동 이후 최대 규모 항일운동이라는 위상을 되찾기 위해선 관련자들에 대한 독립유공자 추가 지정과 전국화 작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은 3.1운동 6.10만세운동과 함께 일제강점기 3대 독립운동으로 평가된다. 그동안 이 운동은 역대 정권의 입맛에 따라 독립운동이라는 알맹이가 빠진 채 학생군사훈련으로 악용되거나 '학생의 날'이라는 일반 행사로 기념돼왔다. 또한 전국 320개교가 참여한 전국적 사건임에도 광주만의 행사로 전락했다.

광주학생독립운동에 참가했다가 대구복심법원(고등법원) 소속 교도소에 투옥된 후 출소한 독립운동가들. 사진 광주일고 학생독립운동 역사관 제공


이계형 국민대 특임교수가 지난달 24일 발표한 '광주학생운동 참여자의 독립유공자 현황'에 따르면 1929년 11월 광주학생시위를 시작으로 1930년 3월까지 전국적으로 전개된 광주학생독립운동은 참가자만 5만4000여명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독립유공자는 212명에 불과하다. 이는 독립유공자 공훈록에서 광주학생운동 관련 색인어로 추출한 명단과 '사상월보' 제1권 제6호에 실린 '광주학생사건 범죄자 신원조'를 분석한 결과다.

이처럼 독립유공자 수가 적은 것은 이 운동이 국내 3대 항일운동으로 꼽히지만 해방 후 군사정권이 들어서면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고, 포상심사기준 또한 엄격하게 적용됐기 때문이다.

당시 조선총독부 고등법원 검사국 사상부에서 작성한 '신원조'에 있는 318명 가운데 192명은 아직 포상을 받지 못했다. 1929년과 1930년 학생시위와 관련해 경찰과 검찰처분을 받은 2600여명도 공적 확인이 필요하다. 당시 조선총독부는 각 학교장들에게 시위에 참가했다가 수감되거나 출감한 학생들을 퇴학 혹은 정학처분토록 했다.

사회주의 행적 때문에 포상에서 제외된 사람들도 많다. 광주학생독립운동동지회 회원 227명 가운데 69명만 독립유공자로 포상을 받았고 나머지는 포상이 보류됐다.

다만 북한정권에 관여하지 않은 사회주의계열 독립운동가에 대해선 1989년부터 서훈이 시작됐다. 그러나 이명박 박근혜정권 9년 동안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 발굴은 지지부진했다.

북한정권에 참여한 사람은 현행법상 독립유공자 지정이 불가능하지만, 남북관계의 진전에 따라 이 문제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게 이만열 숙명여대 명예교수 등 학계 주장이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의 기념식과 기념행사의 전국화도 시급하다. 이 운동은 처음 나주역에서 촉발됐지만 이후 전국 320개교로 번진 3.1운동 이후 최대 규모의 전국적 항일운동이다.

참여 학교를 지역별로 분류하면 북한지역 참가학교가 전체 320개교의 42%인 133개 학교나 된다. 북한과의 공동조사가 필요한 대목이다.

하지만 1970년 '학생의 날'이 국가기념식에서 제외되면서 광주에서만 기념식이 열리고 있다. 지난해까지 15개 시도교육청이 돌아가면서 정부 행사를 개최했다.

윤준식 광주학생독립운동 동지회 부회장은 "광주학생운동을 민족운동의 중심에 세우기 위해서는 유공자를 적극 발굴하고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올해부터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념식을 11월 3일 광주에서 정부 기념식으로 치를 예정이다.

[관련기사]
잊혀져가는 광주학생독립운동 … 독립유공자 212명 불과
나주역 여학생 희롱사건에 조직적 항거
[인터뷰 | 최 철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여학생 댕기머리 희롱사건' 아니다"

‘위대한 역사’ 제89주년 광주학생독립운동 기념식 열려

[학생독립운동-서훈을 받지 못한 항일영웅들 연재기사]

홍범택 방국진 기자 durumi@naeil.com

홍범택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