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세 이상~60세 미만이 60% 차지 … 미래차 시대 고용구조 변화 예상

저출산·고령화는 한국사회가 장기적으로 해결해야할 가장 큰 숙제다. 산업계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모든 업종에서 인력난이 심각하다. 외국인 노동자가 없으면 중소기업 건설현장 농수산업 등이 멈출 수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기업들은 인구구조 변화로 바뀐 시장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내일신문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산업계 어려움을 살펴보고 업종 대표 기업들의 대응을 6차례에 걸쳐 싣는다.

국내 자동차업계 종사자들의 고령화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등 미래차의 빠른 성장으로 고용구조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자동차업계 근로자 평균연령은 2014년 39.3세에서 2021년 43.4세로, 4.1세 늘어났다.

이 기간 남성은 38.6세에서 43.2세로, 여성은 42.8세에서 44.3세로 각각 높아졌다.

월평균 임금은 우리나라 전체 기업의 경우 2011년 261만원에서 2020년 353만원으로, 자동차기업은 396만원에서 476만원으로 각각 증가했다. 자동차기업은 지난 10년간 20.2%(80만원)의 임금상승률을 보였다.

◆고용보험 비보험자수는 약 38만명 = 한국고용정보원이 고용보험 피보험자를 기준으로 국내 자동차업계 근로자 연령대를 조사(2021년 9월말 기준)한 결과 40세 이상 근로자가 전체의 약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구체적으로는 50세 이상~60세 미만 29.9%, 40세 이상~50세 미만 29.8%로, 40~50대가 58.8%에 달했다.

이어 30세 이상~40세 미만 23.9%, 20세 이상~30세 미만 10.9% 순이었다. 60세 이상은 5.2%, 20세 미만은 0.4%로 비중이 적었다.

또 한국고용정보원이 펴낸 '주요 제조업 고용변동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차업종 피보험자수는 2021년 9월 기준 38만2000명이다.

이중 1000명 이상 대규모 사업체에 종사하는 사람은 15만6000명으로 전체의 40.7%를 차지했다. 30명 이상 100명 미만 규모의 사업체는 6만명, 15.7%가 종사하고 있다.
 


◆고령화 대안으로 스마트공장 추진 = 자동차업계의 근로자 고령화에 대한 문제의식은 내일신문 설문조사에서도 드러났다.

조사는 4일부터 12일까지 대기업 91개사와 중소기업 117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자동차업계는 대기업부문에서 6개사가 참여했다. 현대차 기아 르노코리아 쌍용차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등이다.

응답 기업은 '현재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변화(시장변화, 노동인력 부족 등)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나'라는 질문에 5개사가 '약간 그렇다'고 답변했다. 1개사는 '영향이 없다'고 밝혔다.

영향을 받고 있는 분야는 대체로 시장변화에 따른 사업구조 변경 필요성과 고령화에 따른 노동생산성 저하를 꼽았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생산성 저하나 노동인력부족 대응방안으로 어떤 계획을 갖고 있냐'는 물음에 대부분 기업이 신사업진출과 스마트공장 도입이라고 답했다.

정부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규제 완화(신사업 진출)와 세제 혜택(고용확대 기업)을 요구했다.

◆엔진·변속기 공장·인력 감축 불가피 = 하지만 앞으로는 전기차·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자동차 고용시장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블룸버그 뉴에너지파이낸스(NEF)는 2040년까지 전기차가 세계 신규 자동차 판매의 58%, 전체 차량 판매의 31%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리서치회사인 마켓츠앤마켓츠는 한국의 전기차 판매량도 2021년 5만4000대에서 2030년 86만2000대로, 연평균 36.1% 증가를 전망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전기·수소차 부품 수는 내연기관차의 63~80%에 불과하고, 작업공수(작업 가능한 노동력의 수치)는 내연기관차 대비 70~80% 수준이다. 내연기관차 부품은 약 3만개, 전기차는 1만8900개, 수소차는 2만4000여개다.

전기차에는 엔진계통·배기·시동 점화 충전장치가 필요없고, 수소차에도 엔진계통 부품이 불필요하다. 이에 따라 전기·수소차 시대에는 공정이 복잡한 엔진·변속기 공장이 사라지고, 공정이 단순하고 자동화하기 쉬운 배터리팩, 연료전지스텍 공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영국의 경제컨설팅 전문기관인 케임브리지 이코노메트릭스는 순수 전기차 1만대 생산시 필요한 근로자 인원(3580명)은 가솔린차(9450명) 대비 38% 수준에 그칠 것으로 분석했다.

독일의 국가미래모빌리티플랫폼은 2030년까지 전 세계에서 9만∼40만명의 자동차산업 근로자가 실직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

◆전기·전자·SW 전문인력 대거 필요 = 한국자동차연구원은 내연기관 부품기업이 2019년 1669개에서 2030년 1168개로 501개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대신 같은 기간 전기·전장 업체는 250개에서 600개로 350개, 수소차 부품 업체는 50개에서 450개로 400개 각각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연구원은 "전기·전자 엔지니어와 소프트웨어(SW) 전문인력 확보가 미래 모빌리티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한국노동연구원은 '자동차산업 신성장 분야의 고용효과' 보고서에서 "미래차로의 변화가 노동시장에 부정적 영향만을 주는 것은 아니다"라며 "자동차산업내 서비스직이 생겨나는 속도가 (법적인 문제와 안정성 확보 과제로) 로봇의 인간 대체율보다 빠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전자·IT업계 정년퇴직자 활용 '관심'
조선 3사 "인력수급 어려움" 호소

이재호 기자 jhlee@naeil.com

이재호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