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국내기업 설문

국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 경쟁력이 지난해 일본이 수출규제를 한 이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본의 90% 내외 수준에 머물고 있어 아직 국산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지난해 매출액 기준 1000대 기업(비금융 업종) 중 일본과의 수입 거래가 있는 국내 기업 149곳을 대상으로 '일본 수출규제 1년, 소부장 경쟁력 변화'를 주제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일본에서 소부장 등을 수입하는 주요 기업들은 지난해 7월 일본의 소부장 경쟁력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한국 소부장 경쟁력은 지난해 7월 89.6에서 올해 6월 91.6으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평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의 경쟁력이 지난해 92.7에서 올해 현재 98.7로 가장 많이 나아졌다.

이어 1차 금속 제조업의 경쟁력은 88.1에서 92.5로, 식료품 제조업은 91.9에서 96.3으로, 기타기계·장비 제조업은 97.0에서 101.0으로, 화학물질·화학제품 제조업은 96.1에서 97.8로 각각 상승했다.

일본 수출규제 이후 일본으로부터 소부장 수입에 어려움을 겪었는지에 대한 설문에서는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어려움이 있었다'는 응답이 23.5%에 불과했다. 어려움이 없었다는 기업은 45.6%였다. 또 조사대상 기업의 68.5%는 수출규제 이후에도 소부장 수입선을 국내 또는 제3국으로 대체하지 않고 종전과 같이 일본에서 수입을 계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의 절반 이상(57.1%)은 수출 규제에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조사대상 기업 가운데 31.5%는 수출규제 이후 소부장 국산화 등 공급선 변화를 추진했고, 평균 3.35%를 일본 이외 공급선으로 대체했다고 응답했다.

전경련은 "일본의 조치가 실제 수출규제로 이어진 경우보다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았음을 반증하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한편 기업들은 일본과의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66.4%가 한일관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답했다.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가장 적절한 방안으로는 한일 정부 간 외교적 타협(66.4%)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세계무역기구(WTO) 등 국제중재수단 활용(11.4%), 미국의 한일간 중재(7.4%) 등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일본, 8월초 2차 경제도발 우려
일본비중 70% 넘는 전략물자 품목 아직도 100개
생산차질 없지만 안심할 상황 아니다
화학기업 엔지니어가 노벨상 타는 일본

고성수 기자 ssgo@naeil.com

고성수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