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응방안 마련 기업은 25.2% 불과

정년연장 중기 '관심' 대기업 '시큰둥'

국내 기업 가운데 절반 이상이 저출산고령화 영향을 직접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비제조업보다, 기업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내일신문이 4일부터 12일까지 업종별 대표 대기업·중견기업 91개사와 중소기업 117개사를 대상으로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영향과 대응을 조사한 결과다.

조사결과 설문에 응한 대기업·중견기업 91개사 가운데 46개사(50.5%)가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에는 조사대상 43개사 가운데 29개사(67.4%)가 이같이 응답했다. 영향을 받고 있는 이유로 △인력 수급 어려움 △시장변화에 따른 사업환경 변화 △고령화에 따른 노동생산성 저하를 꼽았다.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82.9%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했다.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기업은 8.5%에 불과했다. 저출산고령화 영향 이유로는 인력수급 어려움(59.0%)과 노동생산성 저하(13.7%)를 꼽았다. 현재 인력난이 더 악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대목이다. 근무환경이나 처우 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대기업이나 정보기술(IT) 기업보다 중소기업과 제조업이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표적인 분야가 조선업이다. 2014년 말 20만명 이상을 고용하던 조선업은 지난해 말 9만2800명대로 줄었다. 피크 대비 55% 수준이다. 지난 20년간 평균 인력 대비 30% 줄어든 규모다.

이런 가운데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는 기업은 25% 내외에 그쳤다. 대기업·중견기업 25.2%, 중소기업 23.1% 만이 실제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한 것으로 조사됐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했으면 하는 정책으로는 △고용확대 기업 세제 혜택(40.2%) △신사업 진출 위한 규제 완화(28.7%) △정년연장(18.4%) △스마트공장 도입 지원(16.1%) 등을 꼽았다.

한편 저출산고령화를 위한 대책인 정년연장에 대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생각이 매우 달랐다. 대기업·중견기업은 6% 만이 긍정적인 답을 내놨지만 중소기업은 84.6%가 정년연장을 고려한다고 답했다. 중소기업의 경우 고령인력이라도 붙잡고 싶은 것으로 풀이된다.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은 "제조업 고령화 대책으로는 노동경직성을 완화해 청년취업을 활성화시켜야 한다"며 "스타트업 창업여건과 성공환경을 잘 조성하면 산업인력 구조 신진대사도 촉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령자는 정년퇴직 후 새로운 계약을 통해 전문성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역할을 주는 방안도 검토할 때가 됐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창간기획 - 저출산고령화시대, 산업이 바뀐다ㅣ①설문조사·종합 ] 총인구·생산연령인구 감소, 10년 뒤 일할 사람이 없다
초고령사회 일본, 70세 정년시대 '성큼'
이민·자동화로 생산인구 대체 … 고령화 악영향 감소
생산연령인구 줄면 GDP증가율 둔화

고성수 기자 · 산업팀 ssgo@naeil.com

고성수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