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과정에 '끼워넣기' 수준

초중고 학생들이 배우는 독도교과서는 없다. 사회과 교육과정에 '독도'라는 단어만 끼워넣었다. 독도 내용은 사회과 부록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도 애매모호하다. 교사 역량에 따라 가르칠 수밖에 없다.

'우리가 만드는 독도 교과서' 독도체험학습에 참가한 청소년들. 사진 남준기 기자


초등학교 5~6학년은 정치문화 영역에 '역사 갈등 해소를 위한 노력과 독도'라고만 기술하고 있다. 중학교의 경우 사회과목 항목에 국민국가수립운동, 3.1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민족운동, 대한민국 정부수립 분야에 '독도'라는 단어를 끼워넣었다.

고등학교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역사교육을 배운다. '동아시아사 체계표'에 독도가 들어있다.

성취기준 항목 '한반도 미래와 통일'에서 "독도를 지키려는 조상들의 노력을 역사적 자료를 통하여 살펴보고, 독도의 위치 등 지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영토주권 의식을 기른다"라고 기술되어 있다. 지리에서는 "우리나라 영역을 지도에서 파악하고 영역으로서 독도가 지닌 가치와 중요성을 파악한다"고 가르친다.

일본의 식민지배 미화, 야스쿠니신사 참배, 교과서 왜곡, 일본군 위안부, 고노담화 단어 중간에 '독도'를 끼워넣었다. 일본의 침략 확대와 주권수호운동 항목에 러일전쟁 을사늑약 국권상실 항일의병 소주제에 '독도와 간도'가 표기된 정도다.

그러나 이는 독도교과서라고 평가할 수준이 아니다. 독도체험학습에 참여한 고3 학생들이 "12년 동안 우리는 '독도는 우리땅'만 되풀이해서 배웠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독도교육 내용이 부실한 이유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사회교과서 제작에 독도 역사를 비롯한 해양 전문가가 참여하지 못하니 내용이 부실하고 모호하게 갈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일본이 독도가 자국 영토라고 초중고 교과서에 구체적으로 담고 가르치는 동안 한국은 교과서에서 독도를 둘러싼 '갈등과 화해'만 강조했다.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응하기 위해 독도교과서를 제작해야 한다는 역사학자들의 주장이 나온 지 오래지만 정부도, 시도교육감들도 침묵하고 있다. 국정교과서(역사교과서)가 어렵다면 인정교과서라도 만들어야 한다. 인정교과서는 시도교육감 몫이다.

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결정하면 된다. 경기도교육감이 독도교과서를 인증도서나 참고자료로 만들면 타 시도교육청에서 검토해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최근 독도에 관한 이슈가 뜨겁다. 도쿄올림픽 일본지도에 독도 표기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로 국내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1948~1952년 사이 미 공군의 독도 폭격 문제까지 떠오르고 있다.

독도체험학습에 참가한 대구 일마이스터고 3학년 한 학생은 "이번 체험학습에서 독도가 어떤 과정을 거쳐 지금의 상태가 됐는지 처음으로 배웠다"며 "소중한 독도에 대해 학생들이 자세히 배울 수 있도록 '독도교과서'를 따로 만들어 동식물 문제에서부터 수중생태계까지 모두 담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청소년 독도체험학습" 연재기사]

전호성 기자 hsjeon@naeil.com

전호성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