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동우(아들) : 이번 영화는 가족에게 닥친 뇌졸중 이야기예요. 복지가 잘되어 있다는 프랑스에서도 이런 상황이 벌어지면 너무 힘들어하는 모습이 잘 그려진 작품이예요.
고병수(아버지) : 가족 중에 갑자기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지. 치료나 재활은 차치하고라도 우선 노동 능력이 떨어지니까 경제 문제가 생기고, 둘째는 간병을 위해 가족 중 한 사람이 붙어있어야 하고, 집안의 삶의 질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단다.
동우 : 영화 제목은 아무르, 즉 사랑이란 건데..... 너무 비참하게 끝이 나서 서글펐어요.
병수 : 나도 주인공 조르주의 행동이 사랑이었는지는 동의하지 않아. 영화에서 고뇌하는 그의 모습은 공감이 가지만..... 그리고 너는 모르겠지만 조르주 역의 장 루이 트렝티냥은 오래 전 나온 ‘남과 여’라는 영화의 주인공이어서 너무 반갑더구나. 옛날 젊은 시절의 영화를 생각하면서 보니까 흘러간 시간이 느껴지더라.

신고를 받고 온 소방관과 경찰들이 파리의 아파트로 들어가 누군가의 집 문을 강제로 열어젖힌다. 집에서는 뭔가 썩는 듯한 냄새가 나고, 방 하나에는 못을 박아 놓아 열리지 않자 부수며 들어간다. 침대에는 돌아가신지 꽤 시간이 지나 보이는 할머니가 얌전히 누워 있다. 주변에 둘러가면서 꽃이 놓였고, 손은 꽃을 쥔 채..... 미카엘 하네케 감독의 2012년 작품 ‘아무르(Love [Amour])’는 이렇게 어리둥절하게 만들며 시작한다. 무슨 사연이 있는 걸까?

아무르는 프랑스어로 ‘사랑’이란 뜻이다. 80대 노부부 조르주(장 루이 트렝티냥)와 안느(엠마누엘 리바)는 둘 다 음악가이다. 은퇴하고 둘이 오붓하게 노년의 삶을 살고 있던 중 안느는 제자의 피아노 연주회에 남편과 함께 다녀온 다음날 아침, 여느 때처럼 평온한 아침 식사 준비를 한다. 식탁에 앉아 얘기를 나누던 중 갑자기 안느가 조용해진다. 살짝 뇌졸중이 온 것. 잠시 후 정신이 돌아오지만 안느는 그 순간을 기억하지 못한다. 이것은 약하게 뇌졸중이 왔다는 신호이다. 병원에서 의사는 오른쪽 목동맥이 막혔고, 뇌로 공급하는 혈류가 약해져서 생긴 뇌경색이며 그것은 수술로 좋아질 수 있다고 말한다.

뇌졸중은 흔히 두 가지 원인으로 생긴다. 뇌혈관이 터지는 뇌출혈과 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이 있는데, 안느는 후자의 경우이다. 영화에서 말하는 수술은 막힌 혈관을 뚫는 치료를 말하며, 엄밀히는 뇌를 절개해서 하는 수술이 아니다. 하지만 이 치료는 시간이 가장 중요해서 3~6시간 안에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다지 효과가 없다. 치료방법은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녹이는 약제를 투여하는 것인데, 잘못하면 뇌출혈을 일으키게 되는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영화에서는 결국 그 치료가 실패해서 마비가 더 심하게 와버린다. 더 나빠졌지만 책도 읽고 대화도 편하게 나눌 수 있었던 안느는 교양 있는 음악가로서 부자유스러운 몸뚱아리가 버겁게 느껴지고 자존심이 상했다.
“이렇게 살아야 할 이유를 모르겠어. 앞으로 더 힘들어질 게 뻔하잖아.”
“우리가 같이 힘들어야 할 이유가 없잖아?”
안느는 은근히 세상을 떠나고 싶다는 암시를 주지만 남편 조르주는 자기가 잘 보살피겠으니 걱정 말라고 달랜다.

대화도 곧잘 나누고, 책도 읽던 안느의 얼굴은 점점 여위어가고, 말도 어눌해진다. 병세가 악화되기보다는 반복해서 뇌경색이 온 탓이다. 치매가 와서 감정도 급변하고 우울증도 왔다. 뇌손상이 오래되거나 반복될 때 뇌 위축이 오면서 생기는 혈관성 치매의 모습이다. 사랑과 헌신으로 간병하는 남편도 서서히 지쳐간다. 먹여주는 물을 뱉어버리자 홧김에 안느의 뺨을 때리고는 조르주는 애원한다. “안느, 이러지마. 나도 힘들어.” 조용히 옛날이야기를 하면서 침대 옆에 앉아있던 그는 베개로 안느의 얼굴을 덮어 누른다.

전에는 집안에 들어온 비둘기를 내쫓았는데, 두 번째 들어온 비둘기는 잡아서 쓰다듬다가 조용히 날려 보낸다. 조르주의 꿈 속에서는 건강하던 모습의 안느와 함께 외출도 하고.....

영화가 끝나면서 끝 자막(End credit)이 오르지만 음악도 없다. 음악을 넣어서 여운을 느끼려고 하지 말고 마지막까지 사고하라고 강요하는 감독의 눈빛이 느껴진다. 영화는 이처럼 처음부터 끝날 때까지 사실주의적 묘사와 조용한 철학을 담고자 했다. 미카엘 하네케 감독의 이전 작품들처럼.....

남편인 조르주 역으로 나온 장 루이 트렝티냥은 나이가 들어서 얼굴을 몰라보겠지만 1966년 첫 영화가 만들어진 후 두 차례에 걸쳐 후속편이 만들어진 ‘남과 여(A Man And A Woman [Un Homme Et Une Femme])’에서 안느(‘아무르’에서 상대역도 이름이 안느이다) 역의 아누크 에메와 함께 열연한 주인공 ‘장’이다.

["고병수 의사의 ‘영화 속 의학의 세계’" 연재기사]

고병수 의사

김규철 기자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