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률 1%대, '최소 3.50%' 최종금리 예상

"가계나 기업 올해보다 어려운 한해 될 것"

내년 한국 경제는 잠재성장률을 밑도는 1%대 저성장에 허덕일 것으로 보인다. 최근 정부는 1.6%까지 성장률 전망치를 낮췄다. 우리 경제 성장률이 2%대 이하로 떨어진 적은 경제위기 때 외에는 없었다. 세계 경기가 위축되면서 한국 경제의 핵심동력인 수출이 감소하고 고금리 등으로 민간 소비도 둔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빚 많은 서민들에겐 '혹한의 1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내년까지는 금리가 계속 오를 것으로 보여, 이자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전기와 가스요금 등 공공요금도 줄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27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내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1년 전만 해도 2023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2% 중반대로 점치는 국내외기관이 많았다. 하지만 세계경제 전망이 더 흐려지면서 판도가 바뀌었다.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내년 성장률을 1.9%로 전망한 것을 시작으로 한국경제연구원(1.9%), 한국금융연구원(1.7%), 한국개발연구원(KDI·1.8%),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8%) 등 주요 기관들은 줄줄이 1%대로 하향조정했다.

최근 정부도 1.6%까지 성장률을 낮췄다. 한국은행(1.7%), 국책연구원 KDI(1.8%)등 보다도 낮은 수치다.

우리 경제는 대형위기 상황을 제외하곤 2%대 이하 성장률을 기록한 적이 없다.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0.7%),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0.8%),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5.1%) 등 딱 3번이었다. 내년 경제가 대형위기 다음으로 힘든 상황이 될 것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서민들에겐 저성장보다 내년 한 해도 고금리가 이어질 것이란 점이 더 무섭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8월(0.50%)부터 올해 11월까지 기준금리를 모두 9번 인상해 연 3.25%까지 끌어올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기준금리가 0.25%p 인상되고 대출금리도 같은 폭으로 오를 경우, 전체 대출자의 이자는 약 3조3000억원 늘어난다. 지난해 8월 이후 단행된 기준금리 인상 폭만 2.75%p(0.25%p×11회)에 이른다. 결국 최근 15개월간 늘어난 이자만 36조3000억원이 되는 셈이다. 정부와 한은은 최종금리 수준을 '최소 3.50%'로 보고 있다. 새해 들어서도 몇차례 추가 금리인상이 불가피한 셈이다. 이는 결국 가계와 기업의 이자부담 확대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김종옥 국회 입법조사처 경제산업연구실장은 "금리 인상은 6∼12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며 "가계나 기업 모두 올해보다 내년이 더 어려운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3년 경제전망" 연재기사]

성홍식 기자 king@naeil.com

성홍식 기자 기사 더보기